-
대기오염방지기술 - 충전탑(흡수탑)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방지기술 2020. 8. 19. 23:50
1. 정의
: 원통형의 탑내에 여러가지 충전재를 넣어 함진가스와 세정액을 접촉시켜 세정하는 장치
충전탑 그림 2. 특징
- 액분산형 흡수장치
- 충전탑의 직경/충전제 직경 = 8~10일때 편류현상이 최소화
- 충전제를 규칙적으로 충전하면 불규칙적으로 충전할 때 보다 압력손실이 적어 더 많은 흡수제를 흘릴 수 있음
- 가스유속은 범람(flooding)속도의 40~70% 가 적당
- 효율을 높이기 위해선 가스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, 액가스비를 증가시켜야 함
- 가스속도 : 0.5~1.5m/s, 액가스비 : 2~3L/m3, 압력손실 : 100~250mmH2O
① 장점
- 급수량이 적당하면 효과가 좋고 가스량이 변해도 적응성이 있다.
- 처리가스의 압력손실이 크지 않다.
- 포말성 흡수액에 적응성이 좋다.
② 단점
- 가스유속이 크면 플로딩 상태가 되고 흡수시 고형물(침전물)이 생기면 공극이 막힐 수 있다.
- 희석열이 심한곳에는 사용 X
- 온도변화가 큰 곳에서는 X
- 충전물의 충전방식을 불규칙적으로 했을 때 접촉면적은 커지나 압력손실도 커진다.
3. 충전재의 요구되는 성질
- 충전물의 내열성과 내식성이 커야 함 ex) 플라스틱
- 압력손실이 적도 충전밀도가 커야 함
- 공극률이 커야 함
- 화학적으로 불활성이여야 함
- 단위면적에 대한 표면적이 커야 함
4. 이론적인 흡수탑의 충전높이
이론적인 흡수탑의 충전높이 cf.
1. 홀드업(Hold up) : 흡수액을 통과시키면서 유량속도를 증가할 경우 충전층 내의 액보유량이 증가하게 되는 상태
2. 로딩(Loading) : Hold up 상태에서 계속해서 유속을 증가하면 액의 Hold up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는 상태
3. 플로딩(Flooding) : Loading point를 초과하여 유속을 계속적으로 증가하면 Hold up이 급격히 증가하고 가스가 액중으로 분산 범람하게 되는 상태
※ 편류현상
: 편류현상은 Channeling 현상이라고도 하며, 충전탑에서 흡수액의 최소 유량으로는 충전물 표면에 충분히 분배시키기에는 액의 양이 부족해 한쪽으로만 흐르게 되는 현상
◎ 편류현상 방지법
- 균일하고 동일한 충전재 사용
- 높은 공극율을 가지는 충전재 사용
- 저항이 적은 충전재 사용
'대기환경기사 필기 > 대기오염방지기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기오염방지기술 - 벤츄리스크러버 (0) 2020.08.20 대기오염방지기술 - 분무탑, 다공판탑 (0) 2020.08.20 대기오염방지기술 - 흡수장치 (0) 2020.08.19 대기오염방지기술 - 원심력 집진장치 (0) 2020.08.19 대기오염방지기술 - 관성력 집진장치 (0) 2020.08.1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