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지풍의 종류
-
대기오염개론 - 국지풍의 종류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개론 2020. 8. 30. 00:12
1. 해륙풍 - 임해지역의 바다와 육지의 비열차(비열욜량차)에 의해 발생 - 바람 방향 : 낮 : 바다 -> 육지(=해풍), 밤: 육지->바다(=육풍) - 해풍이 육풍보다 영향을 미치는 거리가 더 김 - 해풍은 주로 여름, 육풍은 주로 겨울에 잘 발생함 - 낮에는 바다보다 육지가 빨리 더워져 육지의 공기가 상승하기 때문에 바다에서 육지로 8~15km 정도까지 바람(해풍)이 붐 - 내륙쪽에서는 해풍이 급격히 약해져 수렴구역이 생기는데 이 구역을 해풍전선이라고 한다. cf. 해풍은 바다에서 육지로 부는 바람이고, 육풍은 육지에서 바다로 부는 바람이다. 헷갈리는 사람이 있다면 해풍의 해가 바다해 이기 때문에 바다->육지로 생각하면 조금 더 도움이 될것이다. 2. 산곡풍 - 곡풍(상승풍) : 낮에 산의 정상부근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