그을음
-
연소공학 - 착화온도, 등가비, 탄수소비, 매연..대기환경기사 필기/연소공학 2020. 9. 29. 22:43
1. 착화온도 : 충분한 공기의 공급하에서 고체연료를 가열하면 어떤 온도에 달하여 더 가열하지 않아도 연료 자신의 연소열에 의해 연소를 계속하게 된다. 이 온도를 착화온도라 한다. (1) 착화온도의 특징 - 가열물의 증발량이 많을수록 낮아진다. - 화학결합의 활성도가 클수록 낮아진다. - 산소와의 친화성이 클수록 낮아진다. - 활성화에너지가 작을수록 낮아진다. - 분자구조가 복잡할수록 낮아진다. - 발열량이 높을수록 낮아진다. - 공기중의 산소농도가 클수록 낮아진다. - 화학반응성이 클수록 낮아진다. - 공기의 압력이 높을수록 낮아진다. - 비표면적이 클수록 낮아진다. - 석탄의 탄화도가 작을수록 낮아진다. - 탄화수소의 분자량이 클수록 낮아진다. 착화온도가 낮아진다는 것은 낮은 온도에서 연소가 발생한다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