번아웃점(Burnout Point)
-
화공기사 실기 필답형 - 포화증기의 응축과 비등화공기사 실기/필답형 2021. 4. 20. 00:49
1. 포화증기의 응축 1) 막상응축 (Film Condensation) - 응축한 액이 피막상으로 벽에 붙어 중력에 의해 흘러내리는 현상 - 응축할 때 방출하는 열량이 흘러내리는 응축액의 막을 통과하여 고체면에 전달되므로 액의 점도가 높은 경우에는 막이 두꺼워 저항이 커지므로 열전달속도가 낮아진다. (적상응축의 1/10 정도) 2) 적상응축 (Dropwise Condensation) - 열전달면에 먼지가 있거나 증기 중에 유분이 포함되어 있을 때 이것이 핵이 되어 적상으로 되는 현상 - 직접 증기와 접촉하는 고체면이 넓어서 열전달속도는 막상응축의 2배 이상이 된다. - 일반적으로 유기물은 적상응축이 되기 힘들며, 벽면이 부식이나 오염되어 있을 때도 발생하기 힘들다. 2. 적상응축을 촉진하는 방법 1) 동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