복합반응
-
반응공학 - 온도와 압력의 영향화공기사 필기/반응공학 2021. 3. 18. 01:37
1. 단일반응 1) 반응열 aA → bB + cC 위와 같은 화학반응이 있다고 할 때 반응열은 다음과 같다. 여기서 온도 T1에서의 반응열을 알고 있는 경우라면 온도 T2에서의 반응열을 계산할 수 있다. 온도 T2의 반응과정에서 흡수된 열 = 반응물의 온도를 T2에서 T1으로 변화시키는데 가한 열 + 온도 T1의 반응과정에서 흡수된 열 + 생성물의 온도를 T1에서 T2로 되돌리는데 가한 열 이것을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. 이 식을 비열(Specific Heat)를 도입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된다. 2) 평형전화율 ① 반트호프식(Van't Hoff eq) 평형상수에 의해 결정되는 평형조성은 온도에 따라 변화되며 열역학으로부터 변화율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. 이 식은 반트호프식(Van't Ho..
-
반응공학 - 평행반응과 연속반응화공기사 필기/반응공학 2021. 3. 17. 14:53
1. 첫번째 평행 반응 위의 평행반응에서의 R과 S에 대한 반응속도식은 다음과 같다. 여기서 R과 S의 상대적인 생성속도의 비를 구하고 그 비를 가능한 크게 하려고 한다. 이렇게 함으로써 어떤 반응기를 써야 효과적이며 원하는 생성물(R)을 얻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 지 알 수 있다. 1) a1 > a2 일때 (원하는 반응 > 원하지 않는 반응) - 선택도 R/S의 비를 높이기 위해선 반응물의 농도가 높아져야 한다. R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회분반응기나 플러그 흐름 반응기(PFR)이 효율적이다. 2) a1 < a2 일때 (원하는 반응 < 원하지 않는 반응) - 원하는 반응이 원하지 않는 반응보다 반응차수가 낮은 경우 R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반응물의 농도가 낮아야 한다. 따라서 큰 혼합흐름 반응기(CSTR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