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외선 흡수분석계
-
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굴뚝배출가스 중 질소산화물 연속자동측정 방법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2021. 2. 25. 19:41
1. 용어 1) 시료채취형(Extractive System) - 굴뚝으로부터 시료가스를 추출하여 지상 또는 일정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분석부에 유입하여 측정하는 형식 - 고정형(시료채취점에 고정하여 장기적으로 연속측정함)과 이동형(여러개의 시료채취점을 대상으로 이동하면서 비교적 단기간동안 측정함)이 있다. 2) 굴뚝부착형(In-situ System) - 분석부가 굴뚝에 부착되어 있으며 광원으로부터 나온 입사광이 굴뚝내부를 가로질러 통과한다. 이때 대상가스상 오염물질이 그 빛을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그 농도를 측정한다. - 이러한 방식의 측정기는 공존하는 먼지, 액적, 광학계의 오염으로 인한 입사광의 감쇄현상이 문제가 되므로 이것을 보정하기 위한 광학계를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. 2. 측정방법의 종류..
-
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굴뚝배출가스 중 아황산가스 연속자동측정 방법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2021. 2. 25. 18:32
1. 측정방법의 종류 1) 용액전도율법 ① 원리 - 시료가스를 황산산성과산화수소수 흡수액에 도입하면 아황산가스는 과산화수소수에 의해 황산으로 산화되어 흡수된다. 이때 황산의 생성으로 인하여 흡수액의 전도율이 증가하게 되는데, 이 전도율의 증가는 시료가스 중의 아황산가스의 농도에 비례한다. ② 분석계 구성 - 측정전극, 비교전극, 가스흡스부, 흡수액 전달펌프, 흡수액용기, 흡수액(황산산성과산화수소수 용액)으로 이루어져 있다. 2) 자외선 흡수분석계 ① 원리 ⓐ 분산방식 (분광기 이용) - 287nm에서의 아황산가스와 이산화질소의 흡광도를 그리고 380nm에서 이산화질소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몰흡광계수와 농도 및 흡광도로 표시된 2원 1차 연립방정식에 대입하여 아황산가스의 극대흡수파장인 287nm에서의 이산화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