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간권
-
대기오염개론 - 대기권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개론 2020. 8. 29. 23:54
※ 대기권의 분류 (대류권, 성층권, 중간권, 열권) 1. 대류권(Troposphere) : 지표에서12km 까지 : 대류권의 하부 1~2km 까지를 대기경계층이라고 하며 지표면의 영향을 직접 받아서 기상요소의 일변화가 일어나는 층 대기경계층의 상층은 지표면의 영향을 직접 받지 않으므로 자유대기라고도 부른다 (1) 특징 - 지표로부터 약 12km 까지의 높이로, 구름이 끼고 비가 오는 등 기상현상이 발생한다. - 고도가 증가할수록 온도가 낮아진다. - 대류권의 고도는 겨울에 낮고 여름에 높으며, 저위도 지방이 고위도 지방에 비해 높다 ( 여름 > 겨울, 저위도 지방 > 고위도 지방 ) -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단열팽창에 의해 6.5℃/km 씩 낮아지는 기온감률 때문에 공기의 수직혼합이 일어난다 - 광화학..
-
대기오염개론 - 대기의 특성과 대기권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개론 2020. 8. 29. 23:48
1. 대기의 성분 - 지표에서 80km 이내의 건조공기일 경우 부피기준으로 질소(N2): 78.08%, 산소(O2): 29.04%, 아르곤(Ar): 0.93%, 이산화탄소(CO2): 0.04%, 그 외 네온(Ne), 헬륨(He), 메탄(CH4)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. - 대기의 구성성분을 질소와 산소만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체적비(부피비)는 질소:산소 = 0.79 : 0.21, 중량비(무게비)는 질소 : 산소 = 0.768 : 0.232 -공기는 혼합물로서 분자량은 29를 기준으로 한다. ( 공기의 평균분자량(kg)= 28kg*0.79 + 32kg*0.21 = 28.84kg ) - 공기의 비중은 1.0 이다 2. 대기의 구조 (1) 균질층 - 지상 0~88km까지를 말하며 수분을 제외하고는 질소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