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시료 전처리(Pretreatment)기타 2020. 11. 10. 16:05
1. 전처리(Pretreatment)
: 분석할 원소의 손실 및 외부로부터의 오염 없이 분해하기 위해서 전처리를 진행함
- 분석기기(ICP, AAS등)를 이용하여 무기물을 분석하기 위해 투명용액으로 만드는 분해과정
- 유기물질을 파괴시켜 분석원소를 용액 내에 남게 하며 방해 이온들을 제거하고 용액의 점도와 가용성 물질의 양을 조절하여 분석함
2. 전처리 시 고려사항
① 시료의 특성 파악
② 적절한 전처리방법의 선택
③ 적절한 용기의 선택
④ 희석배수 조절
⑤ 시료의 처리에 맞는 시약 선택
⑥ 전처리 과정에서 외부로부터의 오염 예방
⑦ 시료의 채취
3. 시료에 따른 전처리 용기
1) 금속류
① 백금
- 주로 높은 온도에서의 전처리용 기구로 사용
- SiO2를 정량하거나 Alkali fusion 등에 많이 사용
- 도가니나 세라믹, 광물분야 등의 대다수에 사용
- 불산에 적합한 용기
② 지르코늄(Zr)
- 500 ~ 600℃에서 Na2O2와 같은 산화성 알칼리 용해 조작에 사용됨
- HCl, HNO3, H2SO4 에는 잘 견디지만 HF에는 사용을 못함
③ 니켈(Ni)
- 광물질의 NaOH 용해에 많이 사용됨 (Na2O2는 X)
- 고순도 니켈도가니에서도 Fe나 Co를 포함하므로 극미량의 Fe나 Co 분석에는 이용 불가
④ 철(Fe)
- 주석 광석이나 황을 포함한 파이라이트 등의 분해 시 Na2O2 용해에 적합
2) 초자류
① 석영(Quartz)
- 값이 비싸며 투명하고 열팽창계수가 작음
- 알칼리 수산화물의 용해에는 부적합
② 봉규산 유리(Borosilicate glass)
- 열 및 충격에 강하여 실험실에서 가장 많이 사용
- HF와 H3PO4를 제외한 모든 산류에 이용 가능
- ex)비커
③ 자기(Porcelain)
- 산 사용시 Al의 용출 발생
- 값이 비교적 저렴하며 강열감량 분석, BaSO4 무게분석법 등에 사용
3) 플라스틱류
① 폴리에틸렌(PE)
- 알칼리 수산화물, 염산, 플루오르화수소산에 내성이 강함, 사용온도 80℃
- HDPE(high density PE)와 LDPE(low density PE)가 존재
- HDPE가 LDPE보다 기계적인 강도, 열안정성, 화학적 내성이 강함
- HNO3와 왕수(염산 : 질산= 3 : 1)에 반응
② 폴리프로필렌(PP)
- PE와 비슷하며 비커 등에 사용됨, 사용온도 125~135℃
- HNO3와 왕수(염산 : 질산= 3 : 1)에 반응
③ Teflon(PTFE)
- 유기화합물 중 화학적으로 가장 내성이 큼 (~300℃)
- HF, 왕수혼합산, 질산, 과염소산 등 산류에 내성이 강함
- 주로 HF나 NaOH와 같은 화학약품에 대해 Pt용기 대신 이용 (백금보다 저렴하기 때문)
- 열가소성 플라스틱이 아니기 때문에 압출성형이 불가능함
④ PFA(Perfluoalkoxyfluorocarbon)
- PTFE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온도범위가 PTFE에 비해 낮음 (~250℃)
- 열가소성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압출성형이 가능함
- PTFE에 비해 가격이 저렴
- 초단파 분해를 위한 용기로 많이 사용됨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탄화수소의 종류 (0) 2021.09.09 시료의 분해 (0) 2020.11.10 ICP-OES(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er) (0) 2020.11.10 수차(Aberration) (0) 2020.11.04 전자현미경 (FE-SEM, TEM, X-ray, EDS...) (0) 2020.11.0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