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대기환경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알데하이드류 분석 방법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2021. 2. 24. 17:57
1.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
1) 목적 및 적용범위
- 배출가스 중의 알데하이드류를 흡수액 2,4-다이나이트로페닐하이드라진(DNPH)과 반응하면 하이드라존 유도체(hydrazone derivative)를 생성하는데 이를 액체크로마토그래프로 분석하여 정량한다.
- 배출가스 중 알데하이드 화합물은 0.01ppm ~ 100ppm까지 측정할 수 있다. 방법검출한계는 0.005ppm 이다.
2) 시료채취장치
① 흡입노즐
- 스테인리스강 또는 유리제로 만들어진 것으로 흡입노즐의 안과 밖의 기체흐름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흡입노즐 내경(d)은 3mm 이상으로 한다.
- 흡입노즐의 꼭짓점은 30º 이하의 예각이 되도록 하고 매끈한 반구모양으로 한다. 흡입노즐의 내외면은 매끄럽게 되어야 하며 급격한 단면의 변화와 굴곡이 없어야 한다.
② 흡입관
- 수분응축방지를 위해 시료가스 온도를 100℃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가열기를 갖춘 보로실리케이트 또는 석영 유리관을 사용한다.
③ 피토관
- 피토관 계수가 정해진 S형 피토관으로서 배출가스 유속의 계속적인 측정을 위해 흡입관에 부착하여 사용한다.
④ 차압게이지 (마노미터)
- 2개의 경사마노미터 또는 이와 동등한 것을 사용한다. (하나는 배출가스 동압측정, 다른 하나는 오리피스 차압 측정용)
2. 크로모트로핀산 자외선/가시선 분광법
1) 목적 및 적용범위
- 폼알데하이드를 포함하고 있는 배출가스를 크로모트로핀산을 함유하는 흡수 발색액에 채취하고 가온하여 발색시켜 얻은 자색 발색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폼알데하이드 농도를 구한다.
- 폼알데하이드에만 적용되며 다른 알데하이드에는 적용되지 않는다.
- 정량범위는 시료채취량 60L 일때 0.01 ~ 0.2ppm이며 방법검출한계는 0.003ppm 이다.
2) 간섭물질
- 다른 폼알데하이드의 영향은 0.01%, 불포화알데하이드의 영향은 수 % 정도이다.
3. 아세틸아세톤 자외선/가시선 분광법
1) 목적 및 적용범위
- 배출가스 중의 폼알데하이드를 아세틸아세톤을 함유하는 흡수 발색액에 채취하고 가온하여 발색시켜 얻은 황색 발색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한다.
- 폼알데하이드에만 적용되며 다른 알데하이드에는 적용되지 않는다.
- 정량범위는 시료채취량 60L 일때 0.02 ~ 0.4ppm이며 방법검출한계는 0.007ppm 이다.
2) 간섭물질
- 아황산기체가 공존하면 영향을 받으므로 흡수 발색액에 염화제이수은과 염화소듀믈 넣는다.
'대기환경기사 필기 >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페놀류 분석 방법 (0) 2021.02.24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브롬화합물 분석 방법 (0) 2021.02.24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비소화합물 분석 방법 (0) 2021.02.22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산소측정 방법 (0) 2021.02.22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매연 분석 (0) 2021.02.1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