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공업화학 - 석유 제품의 종류화공기사 필기/공업화학 2021. 3. 25. 00:23
원유 정제 흐름도 cf. 메록스(MEROX) 공정
- 가솔린, 제트 연료, 등유의 mercaptan(R-SH)를 추출하여 제거하고 Sweetening하여 악취와 부식성을 제거하는 공정
- 메록스 촉매(코발트 프탈로시아닌 술폰화물)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티올류를 추출하고 공기로 산화시켜 이황화물 형태로 분리, 제거
R-SH + NaOH → NaSR + H2O (추출 공정)
4NaSR + O2 + 2H20 → 2 R-S-S-R + H2O (산화 공정)
cf. 납사 수첨 탈황공정(Naphtha Hydro treating Unit)
- 황 및 질소 화합물을 제거하는 공정
- 코발트 - 몰리브덴 촉매를 이용하여 황화수소를 무반응 수소와 함께 제거하는 방식
1. 액화석유가스 (LPG; Liquefied petroleum gas)
- 원유의 접촉분해, 상압증류, 접촉리포밍과 같은 조작에서 부생되는 가스
- 주성분은 C3, C4 탄화수소 가스 (프로판, 부탄, 프로필렌, 부틸렌)
- 프로판가스라고도 하며 쉽게 액화가 가능해 운반이 용이
- 자동차 연료, 가정용 연료로 사용
2. 액화천연가스 (LNG; Liquefied Natural Gas)
- 메탄을 대기압하에서 -162 ℃로 냉각하여 액체로 응축
- 천연가스를 정제해서 얻음
- 메탄이 주성분
3. 가솔린(휘발유) (Gasoline)
- C5 ~ C12의 탄화수소 혼합물로 30~200℃의 끓는점에서 분별증류를 통해 생성된 탄화수소제품
- 석유화학용 나프타/공업용 휘발유/자동차용 휘발유/항공기용 휘발유로 크게 나눔
3-1) 나프타(Naphtha)
- 원유를 증류할 때, 35∼220℃의 끓는점 범위에서 유출되는 탄화수소 혼합체
- 가솔린 유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, 석유화학 원료 등으로 사용할 경우 나프타라고 한다.
- 직류나프타: 상압증류장치(원유증류장치)에서 채취하는 휘발유 유분 가운데 경질의 것
- 직류중질나프타: 중질(heavy naphtha) 유분의 것, 끓는점 약 80~200℃의 중질분
- 분해나프타: 경유 (C15 – C20) 혹은 중질유((C20 – C30) 등에서 열분해, 접촉분해 (catalytic cracking) 등 분해장치에서 생성되는 휘발유 유분
- 에틸렌, 프로필렌, 부타디엔 등을 제조하는 열분해장치의 원료, 암모니아 합성용, 수소제조장치의 원료로 사용
3-2) 공업용 휘발유 (Industrial gasoline)
- 고무공업용, 드라이 크리닝용, 도료용, 유지추출용, 세정용 등에 사용되는 휘발유 총칭
3-3) 자동차 휘발유 (Motor gasoline)
- 자동차 휘발유는 안티노크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직류 휘발유의 개질(납사개질공정)로 옥탄가를 높인 휘발유
※ 노킹 (knocking) 현상
: 가솔린 기관의 압축비를 높이는 과정에서 전기착화 이전에 자연적으로 부분연소를 일으키고 이로 인하여 실린더내의 가스압력이 급격히 변화하므로 실린더나 valve가 진동하며 심한 소리를 내며 엔진 효율이 나빠지고 출력이 저하하는 현상
※ 개질 (reforming)
: 중질 가솔린에 고온처리 함으로써 성분인 탄화수소의 구조를 변경시켜 옥탄가가 높은 고급 가솔린을 제조하는 조작
4. 등유 (kerosene) - C10 ~ C15
- 원료증류 시 휘발유 다음으로 유출되는 유분으로 비중은 0.79~0.85, 비점범위는 150~300℃ 정도
- 충분히 정제된 등유는 무색투명하며 백등유, 석유 스토브, 도료용제 등에 사용
5. 경유(Disel oil) - C15 ~ C20
- 경유는 등유와 중유의 중간성상의 유분(oil)으로 비중 0.81 ~ 0.88, 비점범위 200~350℃ 정도의 담황색 또는 담갈색의 기름
- 디젤 기관용 연료 및 기계 세정용, 보일러 버너용으로 사용
6. 중유(Heavy Oil) - C20 ~ C30
- 석유제품 중 총수요에서 가장 소비량이 많은 품목
- 원유에서 휘발유·등유·경유 등을 뽑아낸 후 얻어지는 흑갈색의 점성유
- 보일러용 연료, 대형 디젤기관용 연료, 아스팔트나 석유 코크스의 원료로 사용
7. 윤활유 (Lubricating oil)
- 끓는점 300~600℃ 인 탄화수소로 부터 제조, 석유의 감압증류의 유분을 탈납, 정제하여 제조
- 사용목적: 마찰저항의 감소, 마찰부의 냉각, 응력의 분산, 밀봉 등
7-1) 그리스(Grease)
: 윤활유에 금속비누 등의 점조제를 혼합하여 반고체상으로 만든 윤활제
7-2) 파라핀 왁스(Paraffin Wax)
- 고급 포화탄화수소로 윤활유의 유분을 탈납 처리할 때 얻음
- 색과 냄새가 없으며 상온에서 고체상태
- 화장품, 양초, 광택제, 전기절연재료로 사용됨
8. 아스팔트 (Asphalts)
- 비튜민(Bitumen, 역청)을 주성분으로 하는 흑색/흑갈색인 (반)고체의 가소성(plasticity) 물질
- 원유를 증류할 때 얻어지는 잔유분을 포함하여, 이와 유사한 성분으로 구성된 물질총칭
- 석유 중의 가장 무거운 물질, 비중 1.01 ~ 1.05 이며 조성이 복잡하고 불명확
- 고도의 접착성, 가소성, 내수성, 전기 비전도성
- 천연아스팔트와 석유아스팔트 2가지 종류로 나눠짐
cf. 비튜민
: 석유, 석탄 및 기타 유기물이 열변화하여 생성되는 타르상 물질
8-1) 천연 아스팔트
- 천연적으로 산출되는 것
8-2) 석유 아스팔트
- 석유에서 인공적으로 생산되는 것
- 천연 아스팔트에 비해 불순물이 적음
- 오늘날 대부분 사용되는 아스팔트
직류 아스팔트
(Straight Asphalt)석유를 감압증류할 때 생성된 잔분으로 얻음 도로 포장물, 수리를 위한 구조물용 블론 아스팔트
(Blown Asphalt)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공기를 불어 넣어 탄성력을 크게 만든 아스팔트 전기절연, 지붕 공사(옥상 방수) 9. 석유 코크스
- 탄소가 주성분이며 감압증류한 찌꺼기유를 열분해시켜 얻음
- 탄소전극으로 사용
10. 황
- 원유에서 얻은 각 유분을 정제, 황화수소로 회수한 것을 산화처리하여 얻음
- 황산의 원료로 사용
'화공기사 필기 > 공업화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업화학 - 석유의 정제(Purification) (0) 2021.03.29 공업화학 - 석유의 전화 (0) 2021.03.25 공업화학 - 석유의 성분과 분류 (0) 2021.03.24 공업화학 - 원유의 증류 (0) 2021.03.24 공업화학 - 원유의 성질 (0) 2021.03.2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