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대기오염방지기술 - 여과집진장치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방지기술 2020. 8. 20. 15:47
1. 특성
- 처리가스속도 : 0.3~0.5m/s
- 집진효율 : 90~99%
- 압력손실 : 100~200mmH2O
- 처리입경 : 0.1~20㎛
2. 특징
- 수분이나 여과속도에 대한 적응성이 낮음
- 여과재의 교환으로 유지비가 고가
- 세정집진장치보다 압력손실과 동력소모가 낮음
- 1㎛ 이상의 미세입자의 제거 용이
- 폭발성, 점착성 먼지의 제거가 어려움
3. 주요 메카니즘
- 확산 : 직경이 0.1㎛ 이하인 미세먼지
- 차단 : 직경이 0.1~1.0㎛ 인 입자
- 관성충돌 : 직경이 1.0㎛ 이상인 입자
- 중력 : 직경이 비교적 크고 비중이 큰 입자
4. 여과방식
① 내면여과방식
- 여재를 비교적 엉성하게 틀속에 충전하여 여과층으로 사용하면서 함진가스 중의 먼지입자를 포집하는 방식
- 일반적으로 건식으로 사용
- 주로 저농도의 함진가스의 오염공기를 처리
- 여과속도가 느리고 압력손실 : 30mmH2O 이하
- ex) Package형 filter, 방사성 먼지용 air filter
② 표면여과방식
- 비교적 얇은 여과포를 사용하여 여과포 표면에 부착된 입자층으로 미립자를 포집하는 방법
- 대표적으로 백필터(Bag filter)
5. 탈진방식
① 간헐적 탈진방식
- 여러개의 방으로 구분하고 방 하나씩 처리가스의 흐름을 차단하여 순차적으로 탈진하는 방식
- 먼지의 재비산이 적음
- 대용량 처리 X
- 높은 집진율
- 연속식에 비해 여포 수명 김
- 진동형, 역기류형, 역기류 진동형
② 연속식 탈진방식
- 먼지의 재비산이 큼
- 낮은 집진율
- 대용량 처리 가능
- 여과자루의 수명이 짧음
- 압력손실이 일정
- 역제트기류 분사형(reverse jet), 충격제트기류 분사형(pulse jet)
6. 여과재의 종류
① 목면(cotton)
- 최대 허용온도 : 80ºC
- 내산성 나쁨, 내알칼리성 약간 양호
② 유리섬유(glass fibe)
- SO2, HCl 등을 함유한 200ºC 정도의 고온배출가스를 처리하는데 사용
- 내산성 양호, 내알칼리성 나쁨
③ 내산성에 강한 여과재
- 유리섬유(250ºC)
- 테트론
- 오론(150ºC)
④ 내알칼리성에 강한 여과재
- 나일론(아미드계)(110ºC)
- 흑연화섬유(250ºC)
⑤ 내산성과 내알칼리성에 강한 여과재
- 테프론(200ºC)
- 비닐론(100ºC)
- 카네카론(100ºC)
7. 여과집진장치 계산식
① 백필터 개수 구하는 공식
위 공식을 사용하여 여과집진장치를 사용할 때 필요한 백필터 개수를 구할 수 있다. 이때 백필터 개수의 계산은 소수 첫째자리에서 완전올림을 한다. 문제에 주어진 값을 대입한 후 n 값을 구해주면 된다. 단위는 m와 s 이니 주의하며 문제를 확인해야 한다.
② 탈락시간 구하는 공식
위 공식을 사용하여 탈락시간 = 제거시간을 구할 수 있다. 입구농도에서 출구농도를 뺀 값에 겉보기여과속도와 탈락시간을 곱하면 먼지부하의 값이 나온다.
'대기환경기사 필기 > 대기오염방지기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기오염방지기술 - 집진효율계산식 (0) 2020.09.07 대기오염방지기술 - 전기집진장치 (0) 2020.09.07 대기오염방지기술 - 사이클론스크러버, 제트스크러버, Theisen washer (0) 2020.08.20 대기오염방지기술 - 벤츄리스크러버 (0) 2020.08.20 대기오염방지기술 - 분무탑, 다공판탑 (0) 2020.08.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