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대기오염개론 - 국지풍의 종류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개론 2020. 8. 30. 00:12
1. 해륙풍
- 임해지역의 바다와 육지의 비열차(비열욜량차)에 의해 발생
- 바람 방향 : 낮 : 바다 -> 육지(=해풍), 밤: 육지->바다(=육풍)
- 해풍이 육풍보다 영향을 미치는 거리가 더 김
- 해풍은 주로 여름, 육풍은 주로 겨울에 잘 발생함
- 낮에는 바다보다 육지가 빨리 더워져 육지의 공기가 상승하기 때문에 바다에서 육지로 8~15km 정도까지 바람(해풍)이 붐
- 내륙쪽에서는 해풍이 급격히 약해져 수렴구역이 생기는데 이 구역을 해풍전선이라고 한다.
cf. 해풍은 바다에서 육지로 부는 바람이고, 육풍은 육지에서 바다로 부는 바람이다. 헷갈리는 사람이 있다면 해풍의 해가 바다해 이기 때문에 바다->육지로 생각하면 조금 더 도움이 될것이다.
2. 산곡풍
- 곡풍(상승풍) : 낮에 산의 정상부근의 온도가 쉽게 올라 산의 골짜기에서 산 정상으로 부는 바람
- 산풍(중력풍) : 밤이 되면 산정상부근의 온도가 빨리 낮아져 산정상에서 골짜기를 향해 부는 바람
- 곡풍 : 낮에 발생, 산풍: 밤에 발생
- 산풍의 세기 > 곡풍의 세기 (산풍은 경사면 ->계곡 -> 주계곡으로 수렴하며 풍속이 가속화되기 때문)
cf. 산풍과 곡풍도 해풍과 육풍처럼 기억하면 된다. 산풍은 산에서 곡(골짜기)로 부는 바람이고 곡풍은 곡(골짜기)에서 산으로 부는 바람이다. 산풍의 산은 뫼 산이기 때문에 산 -> 곡(골짜기) 로 생각하면 기억하는데 조금 더 도움이 될 것이다.
3. 휀풍 (높새바람)
- 태백산맥 서쪽지방에서 발생하며 고온건조한 바람
- 산맥의 정상을 기준으로 풍상쪽 경사면을 따라 공기가 상승하면서 건조단열 변화를 하기 때문에 평지에서 보다 기온이 1℃/100m 율로 하강함
'대기환경기사 필기 > 대기오염개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기오염개론 - 바람장미, 스튼식, 데칸식, 혼합고 (0) 2020.08.31 대기오염개론 - 대기의 안정도, 온위, 리차드슨 수 (4) 2020.08.31 대기오염개론 - 바람의 종류 (0) 2020.08.30 대기오염개론 - 바람에 작용하는 힘(기압경도력, 코리올리 ..) (0) 2020.08.29 대기오염개론 - 대기권 (0) 2020.08.2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