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대기오염개론 - 바람장미, 스튼식, 데칸식, 혼합고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개론 2020. 8. 31. 23:40
1. 바람장미 (Wind rose) = 풍화도
-바람장미는 바람의 풍향별 발생빈도와 풍속을 나타냄
-바람장미에 기록되는 사항: 풍향, 풍속, 무풍률, 지속도
-주풍향 : 남서풍
① 바람장미 특징
- 풍향별로 관측된 바람의 발생빈도는 풍속을 16방향인 막대기형으로 표시한 기상도형
- 가장 빈번히 관측된 방향을 주풍(Prevailing Wind) 이라 하며, 막대의 길이를 가장 길게 표시(주풍 - 길이)
- 풍속은 막대기의 굵기로 표시 (풍속 - 굵기)
- 관측된 풍향별 발생빈도를 % 로 표시한 것을 방향량(Vector)이라고 하며, 바람장미의 중앙에 숫자로 표시하는 것은 무풍률이다.
- 풍속이 0.2m/s 이하일 때 정온(calm) 상태
- 특정지역오염물질의 대체적인 확산패턴을 예측할 수 있음
2. 고도에 따른 풍속변화
① 스튼(Sutton)의 식
cf. n : 대기안정도 상수
- 매우안정 : 0.5
- 불안정, 중립 : 0.25
- 매우 불안정 : 0.2
② 데칸(Deacon)의 식
ex) 지상 100m 에서 풍속이 20m/s라면, 지상 15m에서의 풍속은? (단, Decaon식을 적용하고 풍속지수 값은 0.3이다)
풀이
Deacon공식에 주어진 조건의 값들을 대입하면 된다.
U2 = U1 * (H2/H1)^P
따라서
20m/s = U1 * (100m/15m)^0.3
U1 = 11.32m/s
3. 혼합고
① 최대혼합고 (Maximum Mixing Depth, MMD) 특징
- 최대혼합고(MMD)란 열부상 효과에 의한 대류에 의해 혼합층의 깊이가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.
- 실제 지표상의 수 km 까지의 실제공기의 온도 종단도를 작성해 결정함
- 역전이 심할수록 최대혼합고는 작은값을 가지며 대기오염의 심화를 나타냄
(작은값을 가질수록 나쁨)
- 최대혼합깊이는 하루 중 밤에 가장 적고 한낮(2000~3000m)에 최대이며 계절적으로는 여름에 최대, 겨울에 최소가 된다.
(최대혼합깊이: 여름 > 겨울, 낮 > 밤)
- MMD가 높은 날은 대기오염이 약하고, 낮은 날은 대기오염이 심하다.
- 불안정한 대기의 MMD > 안정한 대기의 MMD
- 환기량 = 혼합층의 높이 * 풍속
ex)최대 혼합고도를 400m로 예상하여 오염농도를 4ppm 으로 추정하였는데 실제 관측된 최대 혼합고도는 250m 이었다. 실제 나타날 오염농도(ppm)는 얼마인가?
풀이
실제오염농도(ppm) = 예상오염농도(ppm) * (예상최대혼합고/실제최대혼합고)^3 공식에 주어진 값을 대입하여 풀면 된다. 공식을 암기할 때는 실제와 예상 최대 혼합고의 위치에 주의하여 암기를 하면 된다.
실제오염농도(ppm) = 예상오염농도(ppm) * (예상최대혼합고/실제최대혼합고)^3
= 4ppm * (400m/250m)^3
= 16.38ppm
② 라디오존데 (Radiosonde)
: 고도에서의 온도, 기압, 습도를 측정하는 장비
'대기환경기사 필기 > 대기오염개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기오염개론 - 대기의 안정도에 따른 연기 모양 (0) 2020.08.31 대기오염개론 - 기온역전 (0) 2020.08.31 대기오염개론 - 대기의 안정도, 온위, 리차드슨 수 (4) 2020.08.31 대기오염개론 - 국지풍의 종류 (0) 2020.08.30 대기오염개론 - 바람의 종류 (0) 2020.08.3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