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대기환경기사 실기 - 입자의 직경, 입경 측정 방법, 지균풍과 경도풍, 해륙풍과 산곡풍대기환경기사 실기/대표 암기 문제 2020. 10. 13. 10:04
※ 공기역학적 직경과 stokes 직경의 정의 및 차이점
1. 공기역학적 직경
: 측정하고자 하는 입자상의 물질과 동일한 침강속도를 가지며 밀도가 1g/cm3인 구형입자의 직경
2. stokes 직경
: 측정하고자 하는 입자상 물질과 같은 밀도 및 침강속도를 갖는 입자상 물질의 직경
3. 공기역학적 직경과 stokes 직경의 차이점
: 공기역학적 직경은 단위밀도(1g/cm3)를 갖는 구형입자로 가정하는 반면, stokes 직경은 대상입자상 물질의 밀도를 고려하는 것이 차이점이다.
※ 입경측정방법 중 직접측정법과 간접측정법
1. 직접측정법 - 2가지
① 표준체측정법
: 체를 이용하여 약 40㎛ 이상의 입경을 측정범위로 하여 중량분포를 나타냄
② 현미경측정법
: 광학,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약 0.001 ~ 100㎛ 범위의 입경을 측정함
2. 간접측정법 - 2가지
① 액상침강법
: 입자가 액체중에서 침강하는 시간을 측정해 입경과 분포상태를 측정
② 관성충돌법
: 입자가 관성력에 의해 시료채취표면에 충돌하여 채취하는 원리, 입자상 물질의 크기별로 측정함.
※ 지균풍과 경도풍의 정의
1. 지균풍
: 지표면으로부터 마찰력이 무시될 수 있는 고도에서 등압선이 직선(등압선과 평행)일 경우 전향력과 기압경도력의 두 힘만으로 완전히 평형을 이루고 있을 때 부는 수평바람
2. 경도풍
: 등압성이 곡선인 경우 원심력, 기압경도력, 전향력의 세 힘이 평형을 이루는 상태에서 등압성을 따라 부는 바람
- 북반구의 저기압일 때 :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위쪽으로 붐
- 북반구의 고기압일 때 :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붐
※ 해륙풍과 산곡풍의 정의
1. 해륙퓽
: 바다와 육지의 비열차로 인하여 발생함
① 해풍
- 육지가 바다보다 빨리 더워져 육지공기가 상승하여 바다에서 육지로 향해 부는 바람
- 주로 낮에 발생
② 육풍
- 바다의 온도냉각률이 육지에 비해 작아서 기압차에 의해 육지에서 바다로 부는 바람
- 주로 밤에 발생
2. 산곡풍
: 지역(평지, 계곡, 분지)의 일사량 차이로 인하여 발생
① 산풍
- 경사면이 빨리 냉각되어 경사면 위의 공기 온도가 같은 고도의 경사면에서 떨어져 있는 공기의 온도보다 차가워져서 경사면 위에서 아래로 침강하며 부는 바람
- 주로 밤에 발생
② 곡풍
- 산의 비탈면을 따라 상승하는 바람
- 주로 낮에 발생
'대기환경기사 실기 > 대표 암기 문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기환경기사 실기 - 2차 오염물질, 광화학smog, 도시열섬현상, 연소 종류 (0) 2020.10.13 대기환경기사 실기 - 건식법과 습식법, 아황산가스 자동연속측정방식, 분무탑, 간헐식과 연속식 (0) 2020.10.13 대기환경기사 실기 -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, 유압식 버너, 사이클론 집진장치, 블로우 다운(Blow down) (1) 2020.10.13 대기환경기사 실기 - 전기집진장치, 평판형 집진판 (0) 2020.10.13 대기환경기사 실기 - 환경기준, 먼지포집원리, 시료 채취관 조건, 흡수액, 압입통풍 (0) 2020.10.1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