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대기오염개론 - 기온역전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개론 2020. 8. 31. 23:47
대류권내에서는 일반적으로 고도가 올라감에 따라 기온이 감소하나 반대로 증가하기도 한다. 이를 역전(Inversion)이라고 하며 대기오염물의 혼합과 밀접한 관계이다.
1. 역전의 종류
(1) 접지역전(지표역전)의 종류
① 복사선(방사선) 역전
② 이류성 역전
(2) 공중역전의 종류
① 침강성 역전
② 전선성 역전
③ 난류성 역전
④ 해풍 역전
2. 접지역전
: 따듯한 공기가 찬 지표면이나 수면위를 지나갈 때 따뜻한 공기의 하층이 찬 지표면이나 수면에 의해 냉각되어 발생
(1) 복사성(방사선) 역전
: 지표에 접한 공기가 그보다 상공의 공기에 비해 더 차가워져서 생기는 역전
- 하늘이 맑고 바람이 적을 때 지표면 근처의 공기가 낮은 온도로 냉각되면서 발생
- 대기오염물질 배출원이 위치하는 대기층에서 주로 생성되어 대기오염문제를 야기
- 겨울철 맑은 아침에 자주 발생, 낮이 되면 일사로 인해 지면이 가열되어 소멸
- 발생시간대 : 주로 밤에서 이른 새벽까지
- 구름이 낀 날이나 센바람이 부는 날에는 발생 X
복사성 역전 (2) 이류성 역전
: 따뜻한 공기가 찬 지면위를 지나갈 때 대기하부가 접촉냉각에 의해 발생
3. 공중역전
(1) 침강성역전
- 고기압 중심부분(고도 1000~2000m)에서 기층이 서서히 침강하면서 기온이 단열변화로 승온되어 발생
- 고기압이 정체하고 있는 넓은 범위에 걸쳐서 시간에 무관하게 장기적으로 지속
- 대도시에서 발생한 대기오염사건은 주로 침강역전과 관련 (LA 사건)
- 단기간의 오염문제보다는 장기간의 오염 축적에 의해 문제 유발
침강성 역전 (2) 전선성 역전
- 찬 공기위를 이동하는 따뜻한 공기의 전이층에서 발생되는 역전
- 따뜻한 공기와 차가운 공기가 부딪쳐 따뜻한 공기는 찬 공기 위를 타고 상승하면서 전선을 이루는 것
(3) 난류성 역전
- 난류가 형성되면 혼합층이 만들어지며 그 때의 기온분포는 건조단열감율에 가까워지며 상단부분에서 발생되는 역전
(4) 해풍역전
- 육지위에 있는 따듯한 기층 바로 아래로 한냉한 해풍이 불어와 생기는 역전
- 이동성이므로 오염물질을 오래 정체시키지 않는다.
'대기환경기사 필기 > 대기오염개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기오염개론 - 유효굴뚝높이, 통풍력 (0) 2020.09.01 대기오염개론 - 대기의 안정도에 따른 연기 모양 (0) 2020.08.31 대기오염개론 - 바람장미, 스튼식, 데칸식, 혼합고 (0) 2020.08.31 대기오염개론 - 대기의 안정도, 온위, 리차드슨 수 (4) 2020.08.31 대기오염개론 - 국지풍의 종류 (0) 2020.08.3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