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반응공학 - 회분식 반응기(변용반응기)화공기사 필기/반응공학 2021. 3. 11. 00:51
변용 회분 반응기는 시간에 따라 반응 부피가 달라진다.
초기의 반응기 부피를 V0, 시간 t에서 부피를 V라고 하면 V는 다음과 같다.
이때 εA 는 반응물 A가 전혀 전화되지 않았을 때와 완전히 전환되었을 때 부피의 변화분율을 말한다.
여기서
yA0 = (NA0/N) = (반응물 A의 처음 몰수/반응물 전체의 몰수)
δ = (생성물의 몰수 - 반응물의 몰수/ 반응물 A의 몰수)
이다.
만약 aA + bB → cC + dD 라는 화학반응식이 있다면
δ = (c + d - b - a)/a
로 구할 수 있다.
1. 0차 반응
균일계 0차 반응에서 반응물 A의 변화속도는 물질의 농도에 무관하다.
여기서 V = V0(1+ εAXA) 이다.
2. 1차 반응
3. 2차 반응
'화공기사 필기 > 반응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반응공학 - 반응기의 크기 비교 (1) 2021.03.16 반응공학 - 흐름식 반응기(CSTR, PFR) (0) 2021.03.11 반응공학 - 회분식 반응기(정용 회분식) (0) 2021.03.05 반응공학 - 속도법칙 (0) 2021.03.04 반응공학 - 화학반응공학 (0) 2021.03.0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