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반응공학 - 반응기의 크기 비교화공기사 필기/반응공학 2021. 3. 16. 11:14
1. 단일반응기의 크기 비교
1) 회분 반응기(Batch reactor)
ε = 0 에 대해서 회분반응기와 플러그 흐름반응기(PFR)는 같은 시간동안 반응하며, 작업에 필요한 반응기의 크기도 동일하다.
2) 혼합흐름반응기(CSTR)과 플러그흐름반응기(PFR)의 비교
n > 0 일때, CSTR의 크기(Vm) > PFR의 크기(Vp)
- n > 0 일때, 혼합흐름반응기(CSTR)의 크기는 항상 플러그흐름반응기(PFR)의 크기보다 크다. 이 부피비는 반응차수(n)이 증가할수록 커진다.
- 전화율이 클수록 부피비가 급격히 증가하므로 전화율이 높을 때에는 흐름 유형이 매우 중요해진다.
2. 다중반응계
1) 연속흐름반응기(PFR)
① 직렬연결
총 부피 = V1 + V2 + V3 + ... + Nn
직렬로 연결된 N개의 PFR은 부피가 V인 한개의 PFR과 같다. (동일한 전화율을 가짐)
② 병렬연결
- 직렬, 직렬-병렬로 연결된 플러그흐름반응기(PFR)에 대하여 유체가 동일한 조성으로 만나도록 공급물을 분배시키는 경우에 전체계를 각각의 총 부피와 같은 부피를 가진 한개의 플러그흐름반응기로 취급할 수 있다.
- 병렬로 연결된 반응기들은 각각의 평행한 흐름에서 τ 가 동일해야 한다.
2) 혼합흐름반응기(CSTR)
① 직렬연결
- 혼합흐름에서는 순간적으로 농도가 아주 낮게 떨어진다. 그러므로 n > 0인 비가역 n차 반응과 같이 반응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속도가 증가하는 반응에 대해서는 플러그흐름반응기가 혼합흐름반응기보다 더 효율적이다. (PFR에서는 반응물의 농도가 계를 통과하면서 점차 감소)
- N개의 동일한 크기의 CSTR을 직렬연결하면 반응기의 수가 증가할수록 플러그흐름반응기에 근접한다.
② 주어진 전화율에 대한 최상의 계 찾기
주어진 전화율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직렬로 연결된 두개의 혼합흐름반응기의 크기를 최소화 해야 한다.
반응 차수 반응기 1차 반응 동일한 크기의 반응기를 사용 n > 1인 반응 작은 반응기 → 큰 반응기 순서로 사용 n < 1인 반응 큰 반응기 → 작은 반응기 순서로 사용 3. 이상 반응기 세트의 최적 배열
- 반응속도-농도곡선이 단조증가하는 반응(n > 0 인 n차 반응)에 대해서는 반응기들을 직렬로 연결해야 한다.
- 반응속도-농도곡선이 오목(n > 1)하면 반응물의 농도를 가능한 크게, 볼록(n < 1)하면 가능한 작게 배열한다.
n > 1 : PFR → 작은 CSTR → 큰 CSTR 순서로 배열
n < 1 : 큰 CSTR → 작은 CSTR → PFR 순서로 배열
'화공기사 필기 > 반응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반응공학 - 평행반응과 연속반응 (2) 2021.03.17 반응공학 - 순환반응기 (0) 2021.03.16 반응공학 - 흐름식 반응기(CSTR, PFR) (0) 2021.03.11 반응공학 - 회분식 반응기(변용반응기) (0) 2021.03.11 반응공학 - 회분식 반응기(정용 회분식) (0) 2021.03.0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