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대기오염개론 - 황산화물(SOx)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개론 2020. 8. 20. 23:12
1. 황산화물(SOx)의 발생경로
황산화물(SOx)의 발생경로 - SOx 란 황산화물의 총칭이며 SO2, SO3, H2S, CS2 등의 물질을 뜻한다.
- SOx 중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것은 H2S(황화수소)이며, 약 80%이상을 차지한다.
- 인위적 배출량 : 50%, 자연적 배출량 : 50%
- 자연적 발생원중 가장 많은 양은 해양을 통해 DMS(Dimethyl sulfide)로 배출되고 있다.
- SOx는 대기오염 피해의 원인이 되는 물질이다.
- 연료중에 황분함량은 석탄이 가장 높다.
- 카르보닐황(OCS)는 대류권에서 매우 안정하기 때문에 화학적인 반응을 하지 않고 성층권으로 유입되면서 광분해반응에 종속된다. 반응성이 작아 청정대류권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는 황화합물이다.
2. SO2 (이산화황 = 아황산가스)
① 특징
- 무색, 자극성 냄새, 비중: 2.2, 융점: -75.5˚C, 비점: -10˚C 분자량: 64
-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아 빗방울, 지표수 등에 쉽게 녹아 H2SO3를 생성
- 인위적 발생원에서 화석연료 중의 황화합물은 연소하면 대부분 아황산가스(SO2)가 됨
- 대기중의 아황산가스는 광화학반응에 의해 SO3로 산화되거나, 건습성 침착에 의해 대기중에서 제거되며, 평균체류시간은 약 4일
- SO2는 대류권에서 거의 광분해되지 않음
- 대기압하에서 산화제와 환원제로 둘다 작용
② 인체에 미치는 영향
- 농도와 노출시간이 문제가 되며 주로 호흡기계통의 질환을 일으킴
- SO2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흡입된 대부분의 가스는 상기도 점막에서 흡수됨
- 단독흡입보다 먼지나 액적을 동시에 흡입하게 되면 황산미스트가 되어 SO2보다 독성이 10배 증가
- 독성순서 : (SO2 + H2O) > (SO2 + 먼지) > (SO2 단독)
③ 식물에 미치는 영향
- SO2는 잎 뒷면의 기공으로 침입하여 잎을 황갈색으로 고갈시킴
- SO2에 대한 저항력이 강한 식물 : 양배추, 셀러리, 소나무, 옥수수, 까치밤나무, 쥐당나무
- SO2에 대한 저항력이 약한 식물 : 담배, 목화, 보리, 대맥, 자주개나리
3. SO3 (삼산화황)
- SOx 중 H2O와 가장 반응을 잘 함
- 호흡기계통에 분비되는 점막에 흡착되어 H2SO4가 된 후 조직에 작용하여 궤양을 일으킴
- 1,2차성 물질
4. H2S (황화수소)
- 무색, 계란썩는 냄새, 유독성, 가연성, 분자량: 34 비중: 1.18
- H2S에 대한 저항력이 강한 식물 : 복숭아, 딸기, 사과나무
- H2S에 대한 저항력이 약한 식물 : 오이, 토마토, 담배, 코스모스
- 주로 어린 잎이나 새싹에 민감하게 작용
5. CS2 (이황화탄소)
- 분자량: 76, 비중: 2.64, 불용성, 끓는점: 46˚C, 인화점: -30˚C
- 상온에서 무색투명하며 자극성 냄새를 내는 유독성의 증발하기 쉬운 액체
- 휘발성이 높은 액체이므로 쉽게 농도가 높아져 중추신경계에 대한 독성작용으로 심한 급성 또는 아급성 뇌병증 유발
- 대부분 상기도를 통해 체내에 흡수
- 비스코스섬유 제조시 많이 발생하며 불쾌한 냄새 유발
'대기환경기사 필기 > 대기오염개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기오염개론 - 이산화탄소(CO2), 일산화탄소(CO) (0) 2020.08.21 대기오염개론 - 질소산화물(NOx) (0) 2020.08.21 대기오염개론 - 실내오염물질 (0) 2020.08.20 대기오염개론 - 대기오염물질의 종류와 특성 (1) 2020.08.16 대기오염개론 - 대기오염의 역사적 사건 (0) 2020.08.1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