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대기오염개론 - 질소산화물(NOx)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개론 2020. 8. 21. 00:01
1. 질소산화물(NOx)의 발생경로
질소산화물(NOx)의 발생경로 - NOx는 질소산화물의 총칭이며, NO, NO2, HNO, N2O 등을 말한다.
- 자연적인 NOx 방출량 = (인위적인 NOx 방출량) * 7~15배
- 인위적인 NOx 배출량 중 대부분은 자동차와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한다.
- NOx는 탄화수소와 함께 태양광선에 의한 광화학스모그를 형성한다.
- 대기에서 NOx의 체류시간은 약 3~4일 이다.
- 연료 중 질소산화물은 일반적으로 석탄에 많고 중유 경유 순으로 적어진다.
2. NO (일산화질소)
- 무색의 기체, 난용성, 교통량이 많은 이른 아침에 최고치
- 고온의 연소과정중 화염속에서 주로 생성된느 질소산화물의 90% 이상이 NO (NO : NO2 = 90% : 10%)
- 혈액 중 헤모글로빈과 결합력이 강해 산소운반 능력을 감소시킴 (CO의 약 1000배)
- 대기중 NO의 추정체류시간은 약 2~5일
3. NO2 (이산화질소)
- 적갈색, 난용성, 자극성, 비중: 1.6 분자량: 46
- NO보다 독성이 5~7배 강함
- 헤모글로빈과 결합력이 CO의 약 300배
- 대기중 NO2의 추정체류시간은 약 2~5일
- 오전 7~ 9시경을 전후로 하루중 고농도를 띔
- NO2와 N2O는 미생물작용에 의하여 토양과 해양에서 배출됨
- NO2의 광화학적 분해작용으로 대기중의 O3 농도가 증가하고 이때 HC가 존재하면 Smog를 형성함
- 습도가 높을 경우 질산이 되어 금속을 부식시키며 산성비의 원인이 됨
- 1990~2000년 동안 오염농도가 다른 물질에 비해 크게 감소하지 않은 물질이 NO2
4. N2O (아산화질소)
- 일명 스마일기체(smile gas), 상쾌하고 달콤한 냄새와 맛, 무색
- 보통 대기중에 0.5ppm 존재
- 대류권에서는 온실가스, 성층권에서는 오존층파괴물질
- 독성은 없으나 온실효과와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는 기체
- 대기중 추정체류시간 : 약 20~100년
- 주 발생원인 : 토양에 공급되는 과잉비료
5. NH3 (암모니아)
- 무색 자극성 가스로 쉽게 액화가 가능해 공업분야에 많이 사용
- 독성은 HCl 과 비슷
- 잎에 전체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이 특징이며 성숙한 잎에서 가장 민감하다.
- 약한 식물로는 토마토, 해바라기, 메밀 이 있다.
cf. 용해도 순서 : HCl > HF > NH3 > SO3 > Cl2 > O2
'대기환경기사 필기 > 대기오염개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기오염개론 - 탄화수소(CH) (0) 2020.08.21 대기오염개론 - 이산화탄소(CO2), 일산화탄소(CO) (0) 2020.08.21 대기오염개론 - 황산화물(SOx) (0) 2020.08.20 대기오염개론 - 실내오염물질 (0) 2020.08.20 대기오염개론 - 대기오염물질의 종류와 특성 (1) 2020.08.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