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대기오염개론 - 이산화탄소(CO2), 일산화탄소(CO)
    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개론 2020. 8. 21. 00:20

    1. 이산화탄소(CO2)

     - 무색 무미의 기체,     분자량: 44     비중: 1.53     

     

     - 대기중의 CO2 농도는 여름에 감소하고 겨울에 증가,  상대적인 CO2 농도: 북반구 > 남반구

     

     - 농도가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이유는 식물 및 토양의 광합성 작용과 호흡작용 때문

     

     - 대기중의 CO2는 식물에 의한 흡수보다 바다에 많은 양이 흡수됨 ( 대기축적: 50%, 바다흡수: 50%, 일부식물흡수)

     

     - 대기중의 CO2 농도 : 400ppm (0.04%)

     

     - 대기중의 추정 체류시간 : 약 2~4년

     

     - 실외에서는 온실가스로 작용하며, 실내에서는 실내공기질 오염의 지표로 사용

     

     - 지구온실효과에 대한 기여도: 50% (가장 큼)

     

     - 현재 대기중의 CO2 농도 증가는 인위적인 방출이 원인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. 일산화탄소 (CO)

     - 무색 무미 무취의 기체     난용성     분자량: 28    비중: 0.97

     

     - 물에 난용성이므로 비에 의한 영향 X

     

     - 가연성분의 불완전연소나 자동차에서 많이 발생

     

     - 혈액내 헤모글로빈과의 친화력이 산소의 210배로 산소운반능력을 저하시킴

     

     - 대기중의 추정 체류시간 : 1~3개월

     

     - CO와 NH3는 1차성 물질로만 작용

     

     - 토양 박테리아의 활동에 의해 이산화탄소로 산화됨으로써 제거됨 (대기중 이산화탄소로 산화되기 어려움)

     

     - 자연적 발생원인: 화산폭발, 테르펜류의 산화, 클로로필의 분해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cf. 혈액속의 카르복시헤모글로빈 평형농도 구하는 공식

     

    혈액속의 카르복시헤모글로빈 평형농도 구하는 공식

     

     

    문제에서 주로 일산화탄소의 농도와 산소의 함유량을 조건으로 주고 혈액속의 카르복시헤모글로빈(HbCO)의 평형농도를 구하라고 출제된다. 이때 [HbCo] = x, [HbO2] = 100-x 로 잡고 주어진 조건 값을 식에 대입해서 풀면 된다. 산소의 함량이 21%라고 한다면 ppm 값으로 바꿔줘야 하기 때문에 21% = 21*10^4ppm 으로 바꾼 뒤 식에 대입해야 한다.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