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대기오염개론 - 탄화수소(CH)
    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개론 2020. 8. 21. 14:05

    1. 탄화수소(CH)

     - 탄화수소는 대기중 산소, 질소, 염소, 황과 반응하여 여러종류의 탄화수소 유도체를 생성함

     

     - 탄화수소는 포화탄화수소불포화탄화수소로 나뉜다.

     

     - 불포화탄화수소는 이중결합 또는 삼중결합을 갖고 있는 탄화수소이며 반응성이 높다

     

     - 인위적인 발생량 : 자연적인 발생량(탄광, 천연가스)  = 1 : 99

     

     - 대기중에 탄화수소는 기체, 액체, 고체로 존재하며 탄소수가 5개 이상인 경우는 액체 또는 고체로 존재한다.

     

     - 메탄의 지표부근 배경농도 = 약 1.5ppm

     

     

    cf. 탄화수소의 종류

       파라핀계 : CnH2n+2

       올레핀계 : CnH2n (불포화)   

       나프텐계 : CnH2n (포화)

       방향족계 : CnH2n-6

       알카인계 : CnH2n-2

     

     

    2. 올레핀계 탄화수소

     - 이중결합을 가진 올레핀계 탄화수소는 포화탄화수소나 방향족 탄화수소보다 대기중에서 반응성이 크다.

     

     - CnH2n의 화학식을 가지며 C2H4, C4H8 등이 있다.

     

     - 광화학스모그에 적극 반응하는 물질

     

     - 발암성 물질 : 3,4-벤조피렌 ( 환경호르몬으로 알려져 있으며, 연소과정에서 생성 ex) 숯불에 구운 고기, 담배연기 등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3. 다환방향족탄화수소 (PAH)

     - 석탄, 기름, 쓰레기나 각종 유기물질의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는 동안 형성된 화학물질 그룹

     

     - 고리형태는 갖고 있는 방향족 탄화수소로 미량으로도 암을 유발할 수 있음

     

     - 물에 쉽게 용해 X  --> 강우에 따른 영향이 적음

     

     - 쉽게 휘발하여 토양오염의 원인이 됨

     

     - 대부분 공기역학적 직경이 2~5㎛ 미만인 입자성 물질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4. 할로겐 탄화수소류 (Halogenated hydrocarbon)

     - 탄화수소 화합물에서 수소원자가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것으로 불연성, 화학반응성 낮음, 독성 적음

     

     - 화합물에 따라 독성은 차이가 있으나 중독성이며 다발성이다.

     

     - 대부분의 할로겐 탄화수소류는 중추신경계 억제작용과 점막에 대한 자극효과를 갖는다.

     

     - 사염화탄소는 가열하면 포스겐이나 염소로 분해되며, 신장장애를 유발하며 간에 대한 독성이 세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cf. 대류권에서 자연적인 오존질소산화물식물에서 방출된 탄화수소와의 광화학반응으로 생성됨.

     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