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대기오염개론 - 유효굴뚝높이, 통풍력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개론 2020. 9. 1. 00:12
1. 유효굴뚝높이
유효굴뚝높이 He = H + △H
He : 유효굴뚝높이(m)
△H : 연기의 상승고(m)
H : 굴뚝의 실제높이(m)
(1) 오염물질의 확산조건
- 굴뚝 가스배출 속도를 증가시킨다.
- 배출가스의 온도를 높인다.
- 배출구의 직경을 작게 한다.
- 굴뚝의 높이를 증가시킨다.
- 배출가스량을 증가시킨다.
(2) SO2의 착지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
- 굴뚝높이를 높게한다
- 굴뚝 배기가스 배출속도를 높인다.
- 배기가스 온도를 가능한 높인다.
- 저유황유를 사용한다.
(3) △H (연기의 상승고) 계산식
△H (연기의 상승고) 계산식 He = H + △H
He : 유효굴뚝높이(m)
△H : 연기의 상승고(m)
H : 굴뚝의 실제높이(m)
ex) 실제굴뚝높이가 50m, 굴뚝내경 5m, 배출가스의 분출속도가 12m/s, 굴뚝 주위의 풍속이 4m/s라고 할 때, 유효굴뚝의 높이는?
풀이
우선 위 공식을 이용해서 연기의 상승고(△H) 값을 계산한다. 그런 다음 He = H + △H 를 이용해 유효굴뚝높이(He)를 구하면 된다.
①△H = 1.5 * D * (Vs/U)
= 1.5 * 5m * ((12m/s)/(4m/s))
= 22.5m
②He = H + △H 에서
=50m + 22.5m
=72.5m
2. 통풍력
(1) 통풍력 계산식
통풍력 계산식 ex) 높이 60m인 굴뚝에서 가스의 평균온도가 250℃, 대기의 온도는 25℃일 때 이 굴뚝의 통풍력은?(mmH2O)
(단, 표준상태의 가스와 공기의 비중량은 1.3kg/Nm3 이고 굴뚝안에서의 마찰손실은 무시한다.)
풀이
통풍력의 계산도 위의 공식을 이용해 주어진 조건의 값을 대입해 해주면 된다.
Z = 355 * H * ( (1/273+ta) - (1/273+tg) )
= 355 * 60m * ( (1/273+25) - (1/273 + 250))
= 30.75mmH2O
(2) 통풍력이 커질 조건
- 굴뚝의 높이↑, 단면적↑
- 배출가스의 온도↑, 외기온도↓
- 굴뚝내의 굴곡이 없을수록
- 외기주입이 없을수록
- 여름보다는 겨울
(3) 통풍방식의 종류
① 압입통풍
- 노 안에 설치된 가압송풍기에 의해 연소용 공기를 연소로 안으로 압입
- 연소실 공기를 예열할 수 있으나 역화의 위험성 존재
- 송풍기의 고장이 적고,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함
- 연소실 공기를 예열할 수 있으며, 내압이 정압(+)으로 연소효율이 좋음
- 흡인통풍식보다 송풍기의 동력소모가 적음
② 흡인통풍
- 통풍력이 커서 굴뚝의 통풍저항이 큰 경우 적합
- 노내압이 부압(-)으로 역화의 우려가 없음
- 이젝트를 사용할 경우 동력이 불필요함
- 송풍기의 점검 및 보수가 어려움
③ 평형통풍
- 대용량의 연소설비에 적합함, 통풍손실이 큰 연소설비에 사용됨
- 통풍 및 노내압의 조절이 용이하나 소음발생이 심함
- 열가스의 누설과 냉기의 침입 X
- 동력소모가 크고 설비비와 유지비가 많이 듬
'대기환경기사 필기 > 대기오염개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기오염개론 - 대기분산모델의 종류 (0) 2020.09.03 대기오염개론 - 확산 모델의 종류 (0) 2020.09.01 대기오염개론 - 대기의 안정도에 따른 연기 모양 (0) 2020.08.31 대기오염개론 - 기온역전 (0) 2020.08.31 대기오염개론 - 바람장미, 스튼식, 데칸식, 혼합고 (0) 2020.08.3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