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대기오염개론 - 확산 모델의 종류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개론 2020. 9. 1. 11:54
1. Fick’s 방정식
: 소용돌이 확산모델(Eddy diffusion model)의 기본방정식
(1) 확산방정식
Fick’s 확산방정식 (2) 가정조건
- 오염물은 점원으로부터 계속 방출된다
- 안정상태이다. (dC/dt = 0)
- 풍속은 X,Y,Z 좌표시스템 어느 점에서든 일정하다.
- 바람에 의한 오염물의 주 이동방향은 X 축이다.
2. 상자모델 (격자모델)
(1) 가정조건
- 오염물 분해는 1차 반응이다
- 오염물질의 농도가 시간에 따라서만 변하는 0차원 모델이다.
- 오염물 배출원은 지면 전역에 균등히 분포되어 있다.
- 공간안에서 오염물의 농도는 균일하다.
- 오염물은 방출과 동시에 균일하게 혼합된다.
- 오염물질은 다른 물질로 변하지 않고 지면에 흡수되지도 않는다.
- 공간의 단면에 직각방향으로 부는 방향속도가 일정하여 환기량이 일정하다.
(2) 특징
- 정성적인 장소에서 면오염원의 농도를 구하는데 적합
- 질량보존법칙이 기본 조건
- 수평, 수직 확산이 고려되지 않아 적용에 제한적
3. 가우시안 (Gaussian)의 확산모델
(1) 가우시안 확산모델 유도에 사용되는 가정
- 연기의 확산은 정상상태로 가정
- 오염물질은 점배출원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방출
- 오염물의 주 이동방향은 X 축이며, 플룸(Plume)내에서 소멸되거나 생성 X
- 수평방향에서 난류확산은 대류에 의한 확산보다 작다고 가정
- 풍속과 난류 확산계수는 일정
- 연직방향의 풍속은 무시
(2) 가우시안 확산식의 특징
- 주로 평탄지역에 적용하도록 개발
- 장단기적 대기오염도 예측에 사용이 용이
- 간단한 화학반응 묘사 가능
- 지표면으로부터 고도 H 에 위치하는 점원 – 지면으로부터 반사가 있는 경우 사용
(3) 가우시안 확산모델 계산식
①
가우시안 확산식 이때
②
이때
③
이때
④
이때
ex) 유효굴뚝높이 100m 정도에서 확산계수가 Cz= 0.1이고, 풍속 U = 5m/s이다. 지표면에서의 대기오염농도가 최대가 되는 착지거리(m)는 얼마인가?
(단 대기상태는 중립상태이며, 안정도 계수(n)는 0.25이다.)
풀이
위 공식에 주어진 조건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.
Xmax = (He/Cz)^( 2 / 2-n )
= (100m/0.1)^ (2/2-0.25)
= 2682.70m
4. 분산모델
① 장점
- 미래의 대기질을 예측할 수 있다.
- 2차 오염원의 확인이 가능하다.
- 점, 선, 면 오염원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다.
- 기초적인 기상학적 원리를 적용하여 미래의 대기질을 예측할 수 있다.
② 단점
- 새로운 오염원이 지역내에 생길 경우 매번 재평가 해야한다.
- 지형과 오염원의 조업조건에 영향을 받는다.
- 오염물의 단기간 분석시 문제가 발생한다.
-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게 작용한다.
5. 수용모델
① 장점
- 대기오염 배출원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수리통계학적으로 분석한다.
- 지형, 기상학적 정보 없이도 사용 가능하다.
- 현재나 과거에 일어났던 일을 추정하거나 미래를 위한 전략을 세울 수 있다.
- 새로운 오염원이나 불확실한 오염원을 정량적으로 확인 평가할 수 있다.
- 적용범위는 도시단위에서 최근 국가 단위의 중규모까지 확장되고 있으며, 분산모델의 결과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.
② 단점
- 측정자료를 입력자료로 사용하므로 시나리오 작성이 어렵다.
- 미래의 대기질을 예측하기 어렵다.
장점 단점 분산모델 - 미래의 대기질 예측 가능
- 2차 오염원의 확인 가능
- 점,선,면의 오염원 영향 평가 가능
- 새로운 오염원 생길 시 매번 재평가 해야함
- 오염물의 단기간 분석시 문제 발생
- 지형과 오염원의 조업조건에 영향 받음수용모델 - 오염원을 수리통계학적으로 분석
- 정량적으로 확인 평가 가능
- 지형, 기상학적 정보 없어도 사용 가능- 시나리오 작성이 어려움
- 미래의 대기질 예측이 어려움'대기환경기사 필기 > 대기오염개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기오염개론 - 용어 정리(엘리뇨, 라니냐...) (0) 2020.09.03 대기오염개론 - 대기분산모델의 종류 (0) 2020.09.03 대기오염개론 - 유효굴뚝높이, 통풍력 (0) 2020.09.01 대기오염개론 - 대기의 안정도에 따른 연기 모양 (0) 2020.08.31 대기오염개론 - 기온역전 (0) 2020.08.3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