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먼지 측정법
    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2021. 1. 29. 12:55

    1. 측정방법의 종류 - 반자동식 채취기에 의한 방법

     - 굴뚝에서 배출되는 먼지시료를 반자동식 채취기를 아용해 배출가스의 유속과 같은 속도로 시료가스를 흡입하여 일정온도로 유지되는 실리카 섬유제 여과지에 먼지를 채취한다.

     

     - 먼지가 채취된 연과지를 110±5℃에서 충분히 1 ~ 3 시간정도 건조시켜 부착수분을 제거한 후 먼지의 질량농도를 계산한다.

     

     -  이때, 배연탈황시설과 황산미스트에 의해서 먼지농도가 영향을 받았을 경우 여과지를 160℃이상에서 4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먼지농도를 계산한다.

     

     

    2. 측정위치 및 측정점

    1) 측정위치 

     - 수직굴뚝 하부 끝단으로부터 위를 향하여 그곳의 굴뚝 내경의 8배 이상이 되고, 상부 끝단으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그곳의 굴뚝내경의 2배 이상이 되는 지점에 측정공 위치를 선정

     

     - 기준에 적합한 측정공 설치가 곤란하거나 측정 작업의 불편, 안정성이 문제 될 때에는 하부 내경의 2배 이상과 상부 내경의 1/2배 이상 되는 지점에 측정공 위치를 선정

     

     

    2) 측정점

    ① 굴뚝단면이 원형일 경우

     - 측정단면에서 서로 직교하는 직경선상에 부여하는 위치를 측정점으로 선정한다.

    이때, 측정점수는 굴뚝직경이 4.5m를 초과할 때는 20점까지로 한다.

     

    ※ 원형단면의 측정점수

    굴뚝직경

    2R(m)

    반 경 

    구분수

    측정점수

    굴뚝 중심에서 측정점까지의 거리(m)

    r1

    r2

    r3

    r4

    1 이하

    1

    4

    0.707 R

    -

    -

    -

    1 초과 2 이하

    2

    8

    0.500 R

    0.866 R

    -

    -

    2 초과 4 이하

    3

    12

    0.408 R

    0.707 R

    0.913 R

    -

    4 초과 4.5 이하

    4

    16

    0.354 R

    0.612 R

    0.791 R

    0.935 R

    4.5초과

    5

    20

    0.316 R

    0.548 R

    0.707 R

    0.873 R

     

     

    ② 굴뚝 단면이 사각일 경우

    ※ 사각형 굴뚝단면의 측정점수

    굴뚝단면적(m2)

    구분된 1변의 길이(m)

    1 이하

    L ≤ 0.5

    1 초과 4 이하

    L ≤ 0.667

    4 초과 20 이하

    L ≤ 1

     - 측정단면은 한변의 길이(L)가 1m 이하의 범위에서 4개 이상의 등단면적의 직사방형 또는 정사방형으로 나누어 중심에 측정점을 선정한다.

     

     - 굴뚝의 단면적이 20m2를 초과하는 경우 측정점수는 20점까지로 하고 등단면적으로 구분한다.

     

     - 굴뚝 단면적이 0.25m2 이하로 소규모일 경우 그 굴뚝 단면의 중심을 대표점으로 하여 1점만 측정한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3. 측정방법 - 반자동식 채취기에 의한 방법

    1) 채취장취의 구성

    ① 흡입노즐

     - 재질은 스테인리스강, 경질유리, 석영 유리제로 만들어져야 한다.

     - 안과 밖의의 가스흐름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내경(d)은 3mm 이상으로 한다. (0.1mm 단위까지 구한다.)

     - 꼭지점은 30º 이하의 예각이 되도록 하고 매끈한 반구모양으로 한다.

     - 내외면은 매끄럽게 되어야 하며 흡입노즐에서 먼지채취부까지의 흡입관은 내부면이 매끄럽고 급격한 단면의 변화와 굴곡이 없어야 한다.

     

    ② 흡입관

     - 시료가스 온도를 120±14℃로 유지할 수 있는 가열기를 갖춘 보로실리케이트, 스테인리스강, 석영유리를 사용한다.

     

    ③ 차압게이지

     - 2개의 경사마노미터 또는 이와 동등한 것을 사용한다.

     

    ④ 여과지홀더

     - 원통형이나 원형의 먼지채취 여과지를 지지해주는 장치

     - 스테인리스강이나 유리제 등 내식성이 강하고 여과지 탈착이 쉬워야 한다.

     

    ⑤ 여과부 가열장치

     - 시료채취시 여과지 홀더 주위를 120±14℃의 온도로 유지할 수 있고, 주위온도를 3℃ 이내까지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를 모니터 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.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4. 수분량 계산 방법

    1) 건조 가스량 기준

    ① 표준상태

     

     

    ② 현재상태

    여기서

    Pa : 대기압(mmHg)

    Pm : 게이지압(mmH2O)

    Pv : 포화수증기압(mmHg)

    ma : 흡습 수분의 질량(g)

    Xw : 배출가스 중의 수증기의 부피 백분율(%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) 습가스량 기준

    ① 표준상태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② 현재상태

     

    여기서

    Pa : 대기압(mmHg)

    Pm : 게이지압(mmH2O)

    Pv : 포화수증기압(mmHg)

    ma : 흡습 수분의 질량(g)

    Xw : 배출가스 중의 수증기의 부피 백분율(%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5. 먼지농도 계산 방법

    1) 먼지농도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) 보통형 흡입노즐을 사용할 때 등속흡입을 위한 흡입량 계산

     

     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