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일산화탄소 분석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2021. 2. 10. 23:23
1. 분석방법의 종류
분석방법의 종류
개요
원리
정량범위
비분산형 적외선 분석법
(연속분석방법)
비분산 적외선 분석계를 이용하여 일산화탄소 농도를 구한다.
0 ~ 1,000ppm
전기화학식
(정전위 전해법)
정전위 전해분석계를 이용하여 일산화탄소 농도를 구한다.
0 ~ 1,000ppm
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
열전도도 검출기(TCD) 또는 메탄화 반응장치 및 불꽃 이온화 검출기(FID)를 겸비한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절대 검정곡선법에 의해 일산화탄소 농도를 구한다.
TCD : 0.1% 이상
FID : 0 ~ 2,000ppm
2. 정전위 전해법
1) 목적
- 가스 투과성 격막을 통해서 전해조 중의 전해질에 확산 흡수된 일산화탄소를 정전위전해법에 의해서 산화시켜 그 때 생기는 전해 전류를 이용해 시료중에 포함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방법
CO + H2O -> CO2 + 2H+ + 2e-
2) 간섭 성분의 영향
- 프로판 100ppm의 간섭영향 시험용 가스를 도입하였을 때 그 영향이 1ppm 이하이어야 한다.
- 단, 0~10ppm 측정범위에서는 0.5ppm 이하로 한다.
3) 성능
① 적용범위
: 최고 3%로 한다.
② 재현성
: 재현성은 측정범위 최대 눈금값의 ±2% 이내로 한다.
③ 드리프트
: 고정형은 24시간, 이동형은 4시간 연속 측정하여 제로 드리프트 및 스팬 드리프트는 어느 것이나 최대 눈금값의 ±2% 이내로 한다.
④ 응답시간
: 90% 응답시간은 2분 30초 이내로 한다.
⑤ 지시오차
: 최대 눈금값의 ±5% 이내로 한다.
⑥ 시료가스 유량 변화에 따른 안정성
: 최대 눈금값의 ±2% 이내로 한다.
⑦ 전압변동에 대한 안정성
: 최대 눈금값의 ±1% 이내로 한다.
'대기환경기사 필기 >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염소 분석 (0) 2021.02.15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염화수소 분석 (0) 2021.02.10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암모니아 분석 (0) 2021.02.09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먼지 측정법 (0) 2021.01.29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질(VOC) 시료채취방법 (0) 2021.01.2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