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
-
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브롬화합물 분석 방법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2021. 2. 24. 18:07
1. 자외선/가시선 분광법 1) 목적 및 적용범위 - 배출가스 중 브롬화합물을 수산화소듐 용액에 흡수시킨 후 일부를 분취해서 산성으로 하여 과망간산포타슘 용액을 사용하여 브롬으로 산화시켜 클로로폼으로 추출한다. 클로로폼층에 물과 황산제이철암모늄 용액 및 싸이오시안산제이수은 용액을 가하여 발색한 물층의 흡광도를 측정해서 브롬을 정량하는 방법이다. (흡수 파장 : 460nm) - 정량범위는 HBr 로서 0.2 ~ 35ppm, Br2로서 0.1 ~ 18ppm이며 정밀도는 3 ~ 10% 이다. 2) 간섭물질 - 배출가스 중의 염화수소 100ppm, 염소 10ppm, 아황산가스 50ppm 까지는 포함되어 있어도 영향이 없다. 3) 흡수액 - 수산화소듐 용액(질량분율 0.4%) 2. 적정법 1) 목적 및 적용범위 ..
-
대기환경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알데하이드류 분석 방법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2021. 2. 24. 17:57
1.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 1) 목적 및 적용범위 - 배출가스 중의 알데하이드류를 흡수액 2,4-다이나이트로페닐하이드라진(DNPH)과 반응하면 하이드라존 유도체(hydrazone derivative)를 생성하는데 이를 액체크로마토그래프로 분석하여 정량한다. - 배출가스 중 알데하이드 화합물은 0.01ppm ~ 100ppm까지 측정할 수 있다. 방법검출한계는 0.005ppm 이다. 2) 시료채취장치 ① 흡입노즐 - 스테인리스강 또는 유리제로 만들어진 것으로 흡입노즐의 안과 밖의 기체흐름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흡입노즐 내경(d)은 3mm 이상으로 한다. - 흡입노즐의 꼭짓점은 30º 이하의 예각이 되도록 하고 매끈한 반구모양으로 한다. 흡입노즐의 내외면은 매끄럽게 되어야 하며 급격한 단면의 변화와 굴곡이..
-
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비소화합물 분석 방법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2021. 2. 22. 18:30
1. 수소화물 생성 원자흡수분광광도법 1) 목적 및 적용범위 - 시료용액 중의 비소를 수소화비소로 하여 아르곤-수소 불꽃 중에 도입하고 비소에 의한 원자흡수를 파장 193.7nm에서 측정하여 비소를 정량한다. - 입자상 비소화합물은 강제 흡입 장치를 사용하여 여과장치에 채취하고, 가스상 비소는 적당한 수용액 중에 흡수 채취하며, 채취된 물질을 산 분해 처리한다. - 정량범위는 0.003ppm ~ 0.13ppm이고, 방법검출한계는 0.001ppm, 정밀도는 10% 이하이다. 2) 간섭물질 - 비소 및 비소화합물 중 일부 화합물은 휘발성이 존재한다. 따라서 채취 시료를 전처하는 동안 비소의 손실 가능성이 존재한다. 이를 위해 전처리 방법으로 마이크로파 산분해법을 권장한다. - 시료용액 중의 산 매질 농도에 ..
-
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산소측정 방법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2021. 2. 22. 16:37
1. 자동측정법 중 자기식(자기풍) 1) 목적 및 적용범위 ① 목적 - 상자성체인 산소분자가 자계 내에서 자기화 될 때 생기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산소 농도를 연속적으로 구한다. ② 적용범위 - 체적자화율이 큰 가스(일산화질소; NO)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. 2) 분석기기 및 기구 ① 자기풍방식 - 자계 내에서 흡입된 산소분자의 일부가 가열되어 자기성을 잃는 것에 의하여 생기는 자기풍의 세기를 열선소자에 의하여 검출한다. ② 자기식 산소측정기의 자기풍 분석계는 측정셀, 비교셀, 열선소자, 자극 증폭기 등으로 구성된다. 2. 자동측정법 중 자기식(자기력) 1) 목적 및 적용범위 ① 목적 - 상자성체인 산소분자가 자계 내에서 자기화 될 때 생기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산소 농도를 연속적..
-
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매연 분석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2021. 2. 19. 18:25
1. 링겔만 매연농도(Ringelmenn Smoke Chart) 법 - 보통 가로 14cm 세로 20cm의 백상지에 각각 0, 1.0, 2.3, 3.7, 5.5mm 전폭의 격자형 흑선을 그려 백상지의 흑선부분이 전체의 0%, 20%, 40%, 60%, 80%, 100%를 차지하도록 하여 이 흑선과 굴뚝에서 배출하는 매연의 검은 정도를 비교하여 각각 0에서 5도까지 6종으로 분류한다. - 무풍일 때 연돌구배경의 검은 장해물을 피해 연기의 흐름에 직각인 위치에 태양광선을 측면으로 받는 방향으로부터 농도표를 측정치의 앞 16m에 놓고, 200m 이내의 적당한 위치에 서서 연돌배출구의 30 ~ 45cm 떨어진 곳의 농도를 측정자의 눈높이의 수직이 되게 관측 비교한다. 2. 불투명도법 - 코크스로, 용광로 등을 ..
-
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시안화수소 분석카테고리 없음 2021. 2. 19. 18:11
1. 분석방법의 종류 1) 적정법 - 질산은 적정법 - 시안화수소를 흡수액에 흡수시킨 다음 질산은 용액으로 적정하여 시안화수소를 정량한다. - 시료 채취량 50L인 경우 시료중의 시안화수소의 정량 범위는 0.5 ~ 100ppm이며, 방법검출한계는 0.16ppm이다. - 100ppm 이상인 경우에는 시료채취량을 줄이거나 분석용 시료용액의 분취량을 가감하여 분석에 사용한다. - 이 방법은 할로겐 등의 산화성 가스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한다. 2) 자외선/가시선 분광법 - 피리딘 피라졸론법 - 시안화수소를 흡수액에 흡수시킨 다음 이것을 발색시켜서 얻은 발생액에 대하여 흡광도(파장 620nm 부근)를 측정하여 시안화수소를 정량한다. - 이 방법은 시료채취량 100~1,000mL 인 경우 시안화수소..
-
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불소화합물 분석카테고리 없음 2021. 2. 19. 17:42
1. 분석방법의 종류 1) 자외선/가시선 분광법 - 시료채취장치를 통해 얻은 시료흡수액을 일정량으로 묽게 한 다음 완충액을 가하여 pH를 조절하고 란탄과 알리자린콤플렉손을 가하여 생성되는 생성물의 흡광도를 분광광도계로 측정하는 방법 (흡수 파장은 620nm 사용) - 정량범위는 HF로서 0.05ppm ~ 1,200ppm, 방법검출한계는 0.015ppm - 시료가스 중에 알루미늄(Ⅲ), 철(Ⅱ), 구리(Ⅱ), 아연(Ⅱ) 등의 중금속 이온이나 인산 이온이 존재하면 방해효과를 나타낸다. 따라서 증류 방법을 통해 불소화합물을 분리한 후 정량하여야 한다. 2) 적정법 - 배출가스 중의 무기 불소화합물을 불소 이온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. 이 방법은 불소 이온을 방해 이온과 분리한 다음, 완충액을 가하여 pH를..
-
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황화수소(H2S) 분석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2021. 2. 19. 17:21
1. 분석방법의 종류 1) 자외선/가시선 분광법 - 메틸렌블루법 - 배출가스 중의 황화수소를 아연아민착염 용액에 흡수시켜 P-아미노디메틸아닐린 용액과 염화철(Ⅲ) 용액을 가하여 생성되는 메틸렌블루의 흡광도(파장 670nm 부근)를 측정하여 황화수소를 정량한다. - 이 방법은 황화수소가 5 ~ 1,000ppm 함유되어 있는 경우의 분석에 적합하며 선택성이 좋고 예민하다. - 1,000ppm 이상인 것에는 분석용 시료용액을 흡수액으로 적당히 희석하여 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. 2) 적정법 - 아이오딘 적정법 - 시료중의 황화수소를 아연아민착염 용액에 흡수시킨 다음 염산산성으로 하고, 아이오딘 용액을 가하여 과잉의 아이오딘을 싸이오황산소듐 용액으로 적정하여 황화수소를 정량한다. - 이 방법은 황화수소가 5 ~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