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
-
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환경대기 중 아황산가스 측정 방법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2021. 2. 26. 15:54
1. 측정방법의 종류 1) 수동 및 반자동측정법 - 파라로자닐린법 (주시험방법) - 산정량 수동법 - 산정량 반자동법 2) 자동 연속 측정법 - 용액 전도율법 - 불꽃광도법 - 자외선형광법 (주시험방법) - 흡광차분광법 2. 분석방법 1) 파라로자닐린법 ① 측정원리 - 이 방법은 사염화수은 포타슘용액에 대기중의 아황산가스를 흡수시켜 안전한 이염화 아황산수은염 착화합물을 형성시키고 이 착화합물과 파라로자닐린 및 폼알데하이드를 반응시켜 진하게 발색되는 파라로자닐린 메틸설폰산을 형성시키는 것 이다. ② 간섭물질 - 주요 방해물질은 질소산화물(NOx), 오존(O3), 망간(Mn), 철(Fe), 크롬(Cr)이다. - NOx는 술퍼민산(NH2SO3H)을 사용함으로써 제거된다. -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(EDTA..
-
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환경대기 중 시료채취방법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2021. 2. 26. 15:32
1. 시료채취를 위한 일반사항 1) 채취지점수(측정점수)의 결정 ① 인구비례에 의한 방법 - 대상지역의 인구 분포 및 인구밀도를 고려하여 인구밀도가 5,000명/km2 이하일 때 적용 - 거주지면적 = 총면적 - (전답 + 임야 + 호수 + 하천) - 측정점수 = (그 지역의 가주지면적/25km2) × (그 지역 인구밀도/전국 평균인구밀도) ② TM좌표에 의한 방법 - 전국 지도의 TM 좌표에 따라 해당지역의 1 : 25,000 이상의 지도위에 2 ~ 3km 간격으로 바둑판 모양의 구획을 만들고 그 구획마다 측정점을 선정한다. ③ 중심점에 의한 동심원을 이용하는 방법 - 측정하려고 하는 대상지역을 대표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한 지점을 선정하고, 지도위에 그 지점을 중심점으로 0.3 ~ 2km의 간격으로 ..
-
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굴뚝배출가스 중 질소산화물 연속자동측정 방법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2021. 2. 25. 19:41
1. 용어 1) 시료채취형(Extractive System) - 굴뚝으로부터 시료가스를 추출하여 지상 또는 일정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분석부에 유입하여 측정하는 형식 - 고정형(시료채취점에 고정하여 장기적으로 연속측정함)과 이동형(여러개의 시료채취점을 대상으로 이동하면서 비교적 단기간동안 측정함)이 있다. 2) 굴뚝부착형(In-situ System) - 분석부가 굴뚝에 부착되어 있으며 광원으로부터 나온 입사광이 굴뚝내부를 가로질러 통과한다. 이때 대상가스상 오염물질이 그 빛을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그 농도를 측정한다. - 이러한 방식의 측정기는 공존하는 먼지, 액적, 광학계의 오염으로 인한 입사광의 감쇄현상이 문제가 되므로 이것을 보정하기 위한 광학계를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. 2. 측정방법의 종류..
-
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굴뚝배출가스 중 아황산가스 연속자동측정 방법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2021. 2. 25. 18:32
1. 측정방법의 종류 1) 용액전도율법 ① 원리 - 시료가스를 황산산성과산화수소수 흡수액에 도입하면 아황산가스는 과산화수소수에 의해 황산으로 산화되어 흡수된다. 이때 황산의 생성으로 인하여 흡수액의 전도율이 증가하게 되는데, 이 전도율의 증가는 시료가스 중의 아황산가스의 농도에 비례한다. ② 분석계 구성 - 측정전극, 비교전극, 가스흡스부, 흡수액 전달펌프, 흡수액용기, 흡수액(황산산성과산화수소수 용액)으로 이루어져 있다. 2) 자외선 흡수분석계 ① 원리 ⓐ 분산방식 (분광기 이용) - 287nm에서의 아황산가스와 이산화질소의 흡광도를 그리고 380nm에서 이산화질소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몰흡광계수와 농도 및 흡광도로 표시된 2원 1차 연립방정식에 대입하여 아황산가스의 극대흡수파장인 287nm에서의 이산화..
-
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굴뚝배출가스 중 먼지 연속자동측정 방법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2021. 2. 25. 15:41
1. 측정방법의 종류 1) 광산란적분법 ① 측정원리 - 먼지를 포함하는 굴뚝배출가스에 빛을 조사하면 먼지로부터 산란광이 발생한다. 산란광의 강도는 먼지의 성상, 크기, 상대굴절율 등에 따라 변화하지만 이들 조건이 동일하다면 먼지 농도에 비례한다. - 굴뚝에서 미리 구한 먼지농도와 산란도의 상관관계식에 측정한 산란도를 대입하여 먼지농도를 구한다. ② 장치구성 - 시료채취부 : 동압관인 내관과 정압관인 외관의 2중 구조로 되어 있다. - 검출부 : 광원부, 측정부, 수광부로 이루어져 있다. - 앰프부 : 전원부, 증폭부 및 농도직독계와 원격출력부로 이루어져 있다. (원격출력부로부터 나온 신호는 유선을 통하여 2km까지 전송된다.) - 수신부 : 앰프로부터의 전송출력을 수신하여 그 신호를 기록계 및 텔레메트리..
-
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휘발성 유기화합물질(VOC) 누출확인방법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2021. 2. 25. 14:25
1. 적용범위 및 원리 1) 적용범위 - 휘발성유기화합물질 누출원에서의 VOC(Volatile Organic Compound) 누출확인방법으로 사용된다. - 누출원들로는 밸브, 플랜지 및 기타 연결관, 펌프 및 컴프레셔, 압력완화밸브, 공정배출구(시료채취장치), 개방형도관 및 밸브, 밀봉시스템 가스제거배출구, 축압부출구, 출입문밀봉장치 등이 포함된다. 2) 원리 - 휴대용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개별 누출원으로부터 VOC 누출을 확인한다. - 이 방법은 누출의 확인여부로만 사용해야 하며, 개별 누출원으로부터의 직접적인 누출량 측정법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. 2. 용어 정리 ① 누출농도 : VOC가 누출되는 누출원 표면에서의 VOC농도, 대조화합물을 기초로 한 기기의 측정값 ② 대조화합물 : 누출농도를 위한 기..
-
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총탄화수소 분석 방법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2021. 2. 24. 18:34
1. 불꽃이온화검출기 1) 목적 및 적용범위 - 연료를 연소하는 배출원에서 채취된 시료를 여과지 등을 이용하여 먼지를 제거한 후 가열채취관을 통하여 불꽃이온화분석기로 유입한 후 분석한다. - 시멘트 소성로, 소각로, 연소시설, 도장시설 등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의 총탄화수소(THC)를 분석하는 방법으로, 알케인류, 알켄류 및 방향족 등이 주성분인 증기의 총탄화수소를 측정하는데 적용된다. - 결과 농도는 프로판 또는 탄소등가농도로 환산하여 표시한다. 2) 간섭물질 - 배출가스 중 이산화탄소, 수분이 존재하면 양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. 단, 이산화탄소, 수분의 퍼센트(%)농도의 곱이 100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간섭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. - 수분트랩안에 유기성 입자상 물질이 존재한다면 양의 오차가 발..
-
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- 배출가스 중 페놀류 분석 방법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2021. 2. 24. 18:18
1. 4-아미노안티피린 자외선/가시선 분광법 1) 목적 및 적용범위 - 배출가스 중의 페놀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배출가스를 수산화소듐 용액에 흡수시켜 채취한다. - pH를 10 ± 0.2 로 조절한 후 여기에 4-아미노안티피린 용액과 헥사사이아노철(Ⅲ)산포타슘 용액을 순서대로 가하여 얻어진 적색액을 51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페놀류의 농도를 계산한다. - 10L의 시료를 용매에 흡수시켜 채취할 경우 시료중의 페놀류의 농도 0.3ppm ~ 20ppm 범위의 분석에 적당하다. 총 페놀의 방법검출한계는 0.1 ppm이다. 2) 간섭물질 - 산화성기체(염소, 브롬 등) 및 환원성기쳬(황화수소, 아황산기체)가 공존하면 음의 오차를 나타낸다. - 분석용 시료용액 중에 불순물을 함유하여 착색했을 경우 분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