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
-
대기오염개론 - 광화학반응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개론 2020. 8. 21. 15:53
1. 광화학반응의 3대 요소 ① 질소산화물(NOx) : 주로 NO와 NO2 ② 탄소산화물 : 올레핀계 탄화수소(CnH2n) ③ 빛 : 자외선선과 가시광선중 주로 자외선 2. 광화학반응의 특징 - 맑은날 자외선의 강도가 클수록 잘 발생함 - 대기중에서 오존농도는 보통 NO2로 산화되는 NO양에 비례하여 증가한다. - NO에서 NO2로 산화가 거의 완료되고, NO2가 최고 농도가 되면 O3가 증가한다. - NO 광산화율 이란 탄화수소에 의하여 NO가 NO2로 산화되는 비율을 말한다 (단위: ppb/min) - 대기중에 NO가 존재하면 O3는 NO2와 O2로 돌아가기 때문에, O3는 축적되지 않는다. - 오존의 농도는 아침에 서서히 증가하여 일사량이 최대인 오후에 최대가 되며 점점 감소한다. - 성층권의 오존..
-
대기오염개론 - 광화학 오염물질의 종류(오존, PAN)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개론 2020. 8. 21. 15:27
1. 1차성 오염물질 - 발생원에서 대기중으로 방출되어 대기를 직접 오염시키는 물질 ex) H2S, SiO2, CH3COOH , CO NaOH, NaCl, SO2, NO, Cl2 2. 2차성 오염물질 - 대기중으로 방출된 1차성 오염물질이 광화학반응이나 광분해반응, 산화반응을 통해 형성되는 물질 ex) O3, 아크로레인(CH2CHCHO), NOCl H2O2, PAN(CH3COOONO2) 3. 1,2차성 오염물질 - 발생원에서 대기중으로 직접 배출될 수도 있고, 배출된 물질이 광화학반응을 통해서 형성되는 물질 ex) SO3, NO2 HCHO, 케톤 ※ 오존(O3) ① 특징 - 무색, 무미, 해초 냄새, 강산화성 물질, 비중: 1.658, 분자량: 48 - 태양빛을 통해 질소산화물과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의 광..
-
대기오염개론 - 중금속 물질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개론 2020. 8. 21. 14:50
1. 크롬 (Cr) - 단단하면서 부서지기 쉬운 회색금속, 다양한 형태의 산화화합물로 존재 - 발생원인 : 피혁공업, 염색공업, 시멘트 제조업 - 호흡기나 피부를 통해 체내로 유입됨 - 만성중독은 코, 폐, 위장의 점막에 병변을 일으키며, 저농도에서는 염증과 궤양을 일으킴 - 생체에 필수적인 금속 2. 카드뮴 (Cd) - 아연광석의 채광이나 제련과정에서의 부산물로 생성, 내식성 강함 - 산화카드뮴이나 황산카드뮴으로 존재 - 발생원인 : 아연정련법, 도금공업, 합금공업, 안료공업 - 이따이이따이병의 원인 - 호흡기나 소화기를 통해 인체에 흡수되며, 만성 폭로시 증상은 단백뇨 3. 납(pb) - 부드러운 청회색의 금속, 고밀도, 내식성 강함 - 발생원인 : 인쇄, 건전지, 페인트, 고무가공, 도가니공업, 가..
-
대기오염개론 - 불소화합물, 포스겐, 다이옥신...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개론 2020. 8. 21. 14:35
1. 불소화합물 (HF) - 비점 : 19ºC, 코를 찌르는 자극성 취기, 무색 부식성의 독성물질 - 배출공업 : 알루미늄 공업, 유리공업, 요업공업, 화학비료 공업 - 물에 대한 용해도가 큼 - SO2와 더불어 식물의 성분분석으로 대기오염도를 파악할 수 있는 물질 - 식물의 잎을 주로 갈색으로 변색시킴, 주로 잎의 끝이나 가장자리가 탄다. - HF에 강한 식물 : 담배, 목화, 고추 - HF에 약한 식물 : 옥수수, 자두, 메밀, 글라디올러스 - 대기오염물질 중에서 고등식물에 대한 독성이 가장 크다. ( HF > Cl2 > SO2 > NO2 ) 2. 시안화수소 (HCN) - 무색 투명 액체, 복숭아씨 냄새 비슷한 자극취, 비중: 0.7 - 가연성, 수용성, 분자량: 27 3. 벤젠 (C6H6) - 비점..
-
대기오염개론 - 탄화수소(CH)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개론 2020. 8. 21. 14:05
1. 탄화수소(CH) - 탄화수소는 대기중 산소, 질소, 염소, 황과 반응하여 여러종류의 탄화수소 유도체를 생성함 - 탄화수소는 포화탄화수소와 불포화탄화수소로 나뉜다. - 불포화탄화수소는 이중결합 또는 삼중결합을 갖고 있는 탄화수소이며 반응성이 높다 - 인위적인 발생량 : 자연적인 발생량(탄광, 천연가스) = 1 : 99 - 대기중에 탄화수소는 기체, 액체, 고체로 존재하며 탄소수가 5개 이상인 경우는 액체 또는 고체로 존재한다. - 메탄의 지표부근 배경농도 = 약 1.5ppm cf. 탄화수소의 종류 파라핀계 : CnH2n+2 올레핀계 : CnH2n (불포화) 나프텐계 : CnH2n (포화) 방향족계 : CnH2n-6 알카인계 : CnH2n-2 2. 올레핀계 탄화수소 - 이중결합을 가진 올레핀계 탄화수소..
-
대기오염개론 - 이산화탄소(CO2), 일산화탄소(CO)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개론 2020. 8. 21. 00:20
1. 이산화탄소(CO2) - 무색 무미의 기체, 분자량: 44 비중: 1.53 - 대기중의 CO2 농도는 여름에 감소하고 겨울에 증가, 상대적인 CO2 농도: 북반구 > 남반구 - 농도가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이유는 식물 및 토양의 광합성 작용과 호흡작용 때문 - 대기중의 CO2는 식물에 의한 흡수보다 바다에 많은 양이 흡수됨 ( 대기축적: 50%, 바다흡수: 50%, 일부식물흡수) - 대기중의 CO2 농도 : 400ppm (0.04%) - 대기중의 추정 체류시간 : 약 2~4년 - 실외에서는 온실가스로 작용하며, 실내에서는 실내공기질 오염의 지표로 사용 - 지구온실효과에 대한 기여도: 50% (가장 큼) - 현재 대기중의 CO2 농도 증가는 인위적인 방출이 원인 2. 일산화탄소 (CO) - 무색 무미 ..
-
대기오염개론 - 질소산화물(NOx)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개론 2020. 8. 21. 00:01
1. 질소산화물(NOx)의 발생경로 - NOx는 질소산화물의 총칭이며, NO, NO2, HNO, N2O 등을 말한다. - 자연적인 NOx 방출량 = (인위적인 NOx 방출량) * 7~15배 - 인위적인 NOx 배출량 중 대부분은 자동차와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한다. - NOx는 탄화수소와 함께 태양광선에 의한 광화학스모그를 형성한다. - 대기에서 NOx의 체류시간은 약 3~4일 이다. - 연료 중 질소산화물은 일반적으로 석탄에 많고 중유 경유 순으로 적어진다. 2. NO (일산화질소) - 무색의 기체, 난용성, 교통량이 많은 이른 아침에 최고치 - 고온의 연소과정중 화염속에서 주로 생성된느 질소산화물의 90% 이상이 NO (NO : NO2 = 90% : 10%) - 혈액 중 헤모글로빈과 결합력이 강해 ..
-
대기오염개론 - 황산화물(SOx)대기환경기사 필기/대기오염개론 2020. 8. 20. 23:12
1. 황산화물(SOx)의 발생경로 - SOx 란 황산화물의 총칭이며 SO2, SO3, H2S, CS2 등의 물질을 뜻한다. - SOx 중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것은 H2S(황화수소)이며, 약 80%이상을 차지한다. - 인위적 배출량 : 50%, 자연적 배출량 : 50% - 자연적 발생원중 가장 많은 양은 해양을 통해 DMS(Dimethyl sulfide)로 배출되고 있다. - SOx는 대기오염 피해의 원인이 되는 물질이다. - 연료중에 황분함량은 석탄이 가장 높다. - 카르보닐황(OCS)는 대류권에서 매우 안정하기 때문에 화학적인 반응을 하지 않고 성층권으로 유입되면서 광분해반응에 종속된다. 반응성이 작아 청정대류권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는 황화합물이다. 2. SO2 (이산화황 = 아황산가스) ① 특..